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가리온, 그들은 돌아가야 했다 힙합으로

등록 2010-11-04 09:21수정 2010-11-04 12:09

힙합 전설 ‘가리온’
힙합 전설 ‘가리온’
6년만에 2집 낸 힙합 전설 ‘가리온’
“가리온이 이 상을 받을 때까지 열심히 힙합 하겠습니다.”

2005년 골든디스크 상을 받은 드렁큰타이거의 타이거제이케이(JK)가 남긴 수상 소감이다. 대체 가리온이 누구이기에 한국 힙합을 대표하는 그가 이런 말을 한 걸까?

1997년 피시통신 하이텔에 흑인음악 동호회가 생겼다. 이름하여 ‘블렉스’. 힙합을 좋아하던 26살 청년 이재현은 서태지와 듀스를 보며 ‘나도 저 정도는 랩을 할 수 있겠는데’라고 생각했다. 내친김에 몇몇 회원들과 엠피(mp)3 파일로 블렉스 1집을 만들어 온라인에 올렸다. 앨범에서 이재현은 엠시(MC·래퍼) 메타(오른쪽)가 됐다.

S1 등 정상급 프로듀서 동참
17곡에 ‘눈물과 고민’ 읊조려
공백기간 쌓은 내공 묻어나

서울 홍대 앞 클럽에서 블렉스 공연을 하고 있을 때였다. 객석에 있던 스무살 청년 정현일이 갑자기 무대에 올라 프리스타일 랩을 쏟아냈다. 메타는 ‘뭔가 불타오르는 게 있는 놈이군’ 하고 생각했다. 메타는 나중에 그를 찾아가 같이 활동하자고 제안했다. 정현일은 흔쾌히 받아들였고, 엠시 나찰(왼쪽)이 됐다. 메타와 나찰로 이뤄진 힙합 그룹 가리온은 그렇게 태어났다. 대다수가 힙합은 외국 음악밖에 없는 줄 알았던 1998년이었다.

가리온은 클럽을 다니며 공연을 하고 또 했다. 새로운 곡들이 계속 완성됐고, 공연을 거치며 매끈하게 다듬어졌다. 2004년 그동안 갈고닦은 곡들을 모아 1집 <가리온>을 발표했다. 프로듀서로 참여한 제이유(최재유)의 탁월한 감각이 화룡점정을 찍었다. 모든 가사는 100% 우리말로 썼다. 우리말로 라임(각운)을 만들고, 우리말로 그루브(흥)와 플로(흐름)를 탔다. 이 앨범은 ‘한국 힙합의 이정표’라는 평가를 받으며 힙합 마니아들의 절대적 지지를 얻었다.

“‘우리말 랩을 고집하는’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걸 내켜하지 않아요. 한국 사람이 한국에서 랩을 하는데 한국말로 하는 게 특이하게 보이는 게 이상한 거죠. 우리말로 랩을 하는 게 당연시돼야 하는 거 아닌가요?”(메타)

뛰어난 앨범임에도 언더그라운드라는 한계 탓인지 대중적으로 성공하진 못했다. 생활고에 시달리던 메타는 힙합신을 떠나 신촌 세브란스병원 주차관리 요원으로 일했다. 일 잘한다고 주임으로 승진도 시켜줬다. 나찰은 대학에 복학해서 체육 교사가 되기 위한 과정을 밟았다. 1년 6개월이 흘렀다. 메타 머릿속에 ‘내가 왜 여기서 이러고 있는 거지?’ 하는 생각이 번뜩 스쳤다. 그 길로 일을 그만두고 나찰과 만났다. “우리 다시 해보자.”


2005년 말 디지털 싱글 ‘무투’와 ‘그날 이후’를 잇따라 발표하며 재시동을 걸었다. ‘무투’는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최우수 힙합 싱글로 선정됐다. 곧바로 2집 준비에 들어갔다. 이듬해까지 80% 이상을 만들었지만, 이후 여러 변수를 맞닥뜨려야 했다. 음악 활동에 도움이 될까 발을 들인 뮤지컬 <래퍼스 파라다이스>는 시간만 잡아먹었고, 나찰은 허리 디스크에 걸렸다. 메타는 피치 못할 개인사정으로 고향 대구로 내려갔다.

그래도 이들에게 흔들리지 않는 건 음악밖에 없었다. 오랜 고민 끝에 다시 서울로 올라온 메타는 나찰과 2집 작업에 매진했다. 그리고 마침내 열매를 맺었다. 지난달 말 <가리온 2>가 1집 이후 6년 만에 발매된 것이다. 그동안 쌓아온 내공, 눈물과 고민을 17곡에 꽉꽉 눌러담았다. 많은 실력파 프로듀서와 래퍼들이 객원으로 참여해 힘을 실어줬다. 카니예 웨스트 곡을 프로듀싱한 에스원(S1) 등 정상급 외국인 프로듀서도 4명이나 참여했다. 실력만 보면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한국 힙합의 최전선’을 그들도 인정한 것이다.

“내 꿈은 등에 달라붙은/ 현실의 무게를 덜어내는 것뿐/ 가쁜 숨을 내뿜는 부분/ 내 가슴속에서 널 털면 그뿐/ 아픈 마음은 날 구원 못해도/ 난 뻔뻔하게 날 속일 수 있어/ 아무도 묻지 않는 질문/ 난 무엇이 되길 원했던 걸까?/ 너무 늦은 것 같은 기분/ 자꾸 계속해 조여드는 슬픔/ 조금 특별하고픈 것뿐/ 오늘 다시 기억난 내 꿈”(‘산다는 게’ 중에서)

‘거리의 시인’ 가리온은 오늘도 꿈과 현실의 경계에서 줄타기 하며 삶을, 세상을 읊조린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사진 타일뮤직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