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부당해고·임금체불 ‘부조리’ 깨끗하게 빨아 버립시다

등록 2011-04-26 19:54수정 2011-04-26 21:44

뮤지컬 ‘빨래’
뮤지컬 ‘빨래’
25만 관객 사로잡은 뮤지컬 ‘빨래’
달동네 좁은 길을 지나 도착한 네모난 방. 서울살이 5년째인 나영이 6번째로 이사한 집, 아니 방이다. 옆방에는 동대문 옷 장사 미숙이, 건너편 방에는 몽골에서 온 이주노동자 솔롱고가 방을 집 삼아 살고 있다.

원래 방은 집 안에서 최소한의 사생활을 위한 분리 공간이지만, 이들에겐 방이 곧 집이고 집이 곧 방이다. 이들을 묶는 건 언제 옮겨야 할지 모르는 방 한칸을 근거 삼아 서울이란 공간에서 떠다니는 이방인이란 운명이다. 이는 남는 방 하나에 살며 폐지를 줍는 집주인 할머니 역시 마찬가지다. 가장 높고 비좁은 어딘가의 귀퉁이로 이들을 모으고 선심 쓰듯 네모진 방 한칸을 내놓는 서울이라는 공간. 뮤지컬 <빨래>는 냉혹한 서울에 대한 세련된 고발이다.

<빨래>는 2005년 초연 이래 올해 4월까지 관객 25만명을 모았고, 아직도 80%의 객석점유율을 기록하며 장기 공연 중이다. 이 작품이 오래도록 사랑받는 배경으로 최저임금, 생리휴가, 부당해고, 이주노동자, 임금 체불 같은 불편한 소재들을 무겁지 않고 따뜻한 터치로 녹여낸 대본과 연출의 힘을 꼽는다. 거기에 더해 <빨래>를 돋보이는 텍스트로 만드는 중요한 비결은 이 따뜻한 뮤지컬이 결코 착하지 않다는 데 있다. 나영은 동료의 부당해고에 맞서 항의할 줄 알고, 집주인 할머니는 상당히 급진적인(?) 과거를 갖고 있다.

마주 보는 옥상에서 빨래를 널다 만난 나영과 솔롱고가 방을 합치면서 극은 끝난다. 하지만 인물들의 삶에서 사실상 달라진 건 별로 없다. 나영은 서점 대신 파주 창고에 나가 고된 노동을 견뎌야 하고, 솔롱고는 ‘사장님’의 인심에 따라 임금을 떼이거나 받거나 할 것이다. 대소변 못 가리는 장애인으로, 빨랫줄에 널린 흰 기저귀로만 존재를 내보이는 주인 할머니의 딸 ‘둘이’ 또한 방에서 나와 어머니 이외의 다른 사람을 만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삶은 원래 아름답다는 거짓 희망 대신, 절망적이지만 ‘지지 않을 거다’라는 나영의 마지막 노래로 맺는 결말 또한 감동적이다.

솔직해서 사랑스러운 뮤지컬 <빨래>의 9차 공연은 대구와 서울에서 열리고 있다. 6월19일까지 대구 남일동 문화예술전용극장CT(053-256-0369), 9월4일까지 서울 동숭동 학전그린소극장(02-928-3362).

박보미 기자 bomi@hani.co.kr, 사진 명랑씨어터 수박 제공

<한겨레 인기기사>

재보선 투표 권하던 시민, 경찰에 ‘긴급 체포’
‘가짜 와이파이’에 스마트폰 개인정보 ‘무방비’
원전 최대피해 우크라이나 ‘과거는 잊자’ 원전건설 욕망
국산 에어펭귄, 앵그리버드 제쳤다
영화 뺨치는 대탈주극…5개월간 땅굴 팠다
부당해고·임금체불 ‘부조리’ 깨끗하게 빨아 버립시다
9만9천원으로 홍콩으로 날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