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한식도 먹고 해설도 듣고…‘웰컴 투 국악’

등록 2011-06-21 20:21

삼청각 '자미'
삼청각 '자미'
한정식 어우러진 삼청각 ‘자미’
황병기 해설 맛깔스런 ‘정오의…’
한옥에서 체험하는 ‘…미수다’
외국인에 소개할만한 상설공연들

외국인 친구가 한국에 놀러 왔다. 국악이 듣고 싶다는데, 어떡하나?

국경을 넘은 왕래가 잦아지고 글로벌한 인간관계를 맺게 되면서, 한국을 찾은 외국인 손님에게 전통문화를 소개해야 할 일이 종종 생긴다. 외국인 사업 관계자가 방문했을 때, 어학 연수 때 알게 된 외국인 친구가 놀러 왔을 때 국악공연은 우리 전통예술과 의상, 가치관 등을 종합적으로 전하는 유용한 안내서가 된다. 막상 찾으려 하면 눈에 잘 띄지 않는 상설 국악공연, 어떤 것들이 있는지 미리 알아두자.

■ 공연과 전통차, 한식을 함께 전통 공연과 함께 한정식, 전통차 등 우리 식문화까지 한꺼번에 소개하고 싶다면 서울 성북동 일화당에서 열리는 프리미엄 런치콘서트 ‘자미’(滋味)를 추천할 만하다. ‘자미’는 월·화·수요일 오후 12시부터 90분간 판소리, 민요, 한국무용 등 다양한 우리 전통예술을 선보이며, 7가지 코스의 한정식과 전통차도 제공한다. 북한산 자락의 아름다운 풍광, 고즈넉한 정취와 어우러져 외국인들에게 인기가 높다. 요일에 따라 연주곡과 한정식 코스의 차림표가 다르니 미리 확인하는 게 좋다.

월요일에는 수제천과 경기민요, 한국무용 ‘입춤’ 등을, 화요일에는 남도민요와 판소리 ‘흥보가’ 중 한 대목, 한국무용 <화관무> 등을, 수요일에는 국악관악합주곡 ‘함녕지곡’과 한국무용 ‘승무’ 등을 선보인다. 국악기로 팝송과 한국 대중가요를 연주해 분위기를 돋우기도 한다. 한정식의 주된 메뉴는 갈비찜, 산채비빔밥, 불고기덮밥 순서로 바뀐다. 가격은 5만원.

삼청각에서는 월~수요일 오후 2시부터 40분 동안 단소, 장구, 판소리를 직접 배워볼 수 있는 강좌 프로그램이 열린다. 강사진은 무형문화재 보유자를 비롯한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수강료 2만원(‘자미’ 공연 관람객은 1만원)이며 사전 예약 필수. (02)765-3700.

국립극장 '정오의 음악회'
국립극장 '정오의 음악회'
■ 전문가 해설이 곁들여진 국악무대 대규모 공연과 전문가의 해설을 원한다면,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정오의 음악회’가 적당하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수준 높은 연주 실력과 가야금 명인 황병기의 전문적이면서도 재치있는 해설이 색다른 매력을 느끼게 해준다. 특히 외국인들에게는 서양 관현악단과 다른 국악관현악단의 화음이 신선한 감흥을 전해준다는 평이다. ‘정오의 음악회’는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매월 한차례씩 지정된 날짜에 공연되며, 관람료는 전석 1만원이다. 오는 28일 ‘정오의 음악회’에서는 관현악 ‘아침을 두드리는 소리’, 국악관현악으로 편곡한 비틀스의 팝송 ‘헤이 주드’ ‘예스터데이’ ‘오블라디 오블라다’뿐 아니라 소리꾼 장사익이 특별 출연해 ‘봄날은 간다’ ‘찔레꽃’ 등을 들려준다. 공연 관람객에는 건강음료와 떡을 제공한다.


황병기 명인은 매월 한번씩 국립극장의 가장 작은 무대인 별오름극장에서 ‘사랑방 음악회’도 진행한다. 아늑한 공간에서 친절한 해설을 들으며 독주나 실내악 위주로 피리, 아쟁, 타악 등 국악기의 음색을 집중 감상할 수 있다. (02)2280-4114.

서울남산국악당 '전통문화체험 미수다'
서울남산국악당 '전통문화체험 미수다'
■ 공연 보고 전통 예절도 배우고 보고 듣는 데 만족하지 않고 직접 참여까지 해보려 한다면 서울남산국악당으로 가보자. 매일 열리는 ‘전통문화체험 미수다’는 관객이 직접 참여하는 체험형 공연이다. 연주 프로그램은 판소리, 산조, 영화와 팝송을 편곡한 퓨전 국악 등으로 구성된다. 전통 한옥에서 연주한다는 점 때문에 외국인들의 반응이 좋다. 일반 공연장에 비해 무대와 객석의 거리가 가까워 눈으로 국악기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즉석에서 추임새를 넣는 법을 배워 연주자들과 한데 어우러지는 체험도 할 수 있다.

공연 외에 이복형 명원문화재단 다례문화원장의 진행으로 우리 전통 한복과 다례 체험도 할 수 있다. 월요일과 일요일에는 한복 체험, 나머지 요일에는 한복과 다례 체험을 할 수 있다. 체험료는 성인 5만원, 청소년 3만5000원. (02)2261-0501~2. (02)765-3700.

김소민 객원기자 somparis@naver.com

사진 세종문화회관·국립극장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