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4년 청년시절의 아리미쓰 교이치
아리미쓰 교이치 특별전
일 교토 교려미술관서 개최
일 교토 교려미술관서 개최
“아 손이 떨립니다!”
1946년 5월14일 경북 경주읍 노서리의 한 신라고분 발굴 현장에서 감격스런 일성이 터져나왔다.
돌무지 무덤 속에서 고구려 광개토왕의 을묘년(415년 추정) 명문이 바닥에 새겨진 청동그릇 ‘호우’를 막 땅 속에서 허공으로 치켜올린 순간, 39살 일본 고고학자는 부들부들 떨었다. 한국 고고학의 첫 출발을 알린 역사적 발굴의 주역이 됐다는 기쁨에, 패전 뒤 포로처럼 붙잡혀 일하는 착잡한 감회가 뒤엉켜 그의 머리 속을 스쳐갔다. 그가 발굴한 무덤은 ‘호우총’으로 이름지어졌다.
지난해 103살로 타계한 일본 고고학 대가 아리미쓰 교이치(1907~2011)의 청년 시절은 경주 호우총과의 극적인 인연으로 획을 긋게 된다. 그는 한일 양국 학계에서 조선(한국)고고학의 선각자로 칭송받는다. 1931년 조선고적연구회 조수로 처음 일본에서 경주로 건너와 한반도 곳곳의 고대 유적들을 조사했고, 1941~1945년 조선총독부 박물관 주임(관장)을 지내다 해방을 맞았다. 김재원 초대국립박물관장은 당시 박물관 소장품과 고고발굴의 유일한 전문가였던 그의 귀국을 막고 발굴을 제안했다. 미군정청 문교부 고문으로 잔류를 명령받은 아리미쓰는 김 관장에게 평소 점찍었던 노서리 140호 고분을 추천했다. 국립박물관 첫 발굴은 그렇게 대박을 터뜨렸다. 김재원은 훗날 자서전에서 발굴 뒤 미군 지프에 그를 태워 부산 부두까지 바래다준 기억을 떠올리며 “가장 진실한 친한파”라고 회고한 바 있다.
일본에 돌아온 뒤에도 교토대 교수로서 평생 조선고고학 연구의 열정을 불태웠던 노학 아리미쓰를 추억하는 회고전이 열린다. 국외 유일한 한국 문화재 전문 컬렉션·전시장인 일본 교토 고려미술관에서 4월1일 개막하는 특별전 ‘조선고고학의 파이오니어-아라미쓰 교이치’다. 5부로 나뉜 전시는 아리미쓰가 교토제국대학을 나와 조선에서 조사활동을 벌였던 일제 강점기와 해방 뒤 경주 호우총·은령총 발굴 시기를 먼저 풀어간다. 이어 조선에서 돌아온 지 60여년만에 평양 유적 조사 보고서를 펴내는 등 일본에서 더욱 왕성하게 펼쳐진 고인의 조선 유적 연구 업적과 김재원 등 한국 지인들과 고려미술관을 세운 재일동포 고 정조문과의 인연 등을 담은 자료들을 보여주게 된다. 미술관쪽은 “지금껏 공개되지 않았던 해방 전후 고인의 조선 고적 조사의 면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 등 귀중한 고고학적 자료들을 상당수 출품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다.
아리미쓰가 한국 고대 유적 발굴 연구에 남긴 그늘은 넓고도 짙다. 부산 영선동 신석기시대 조개무지, 평양 고구려 벽화 무덤, 백제 무령왕릉 발굴의 전조를 알린 공주 송산리 29호분, 전남 나주 반남면 마한 독무덤, 경주 쪽샘지구의 갑총 을총 등등…. 후대 한국 고고학자들은 이땅 곳곳에 남은 그의 발자취를 피해가지 못한다. 조선총독부 최후의 박물관장으로서, 1945년 12월3일 한국 국립박물관의 개관도 지켜보았던 그는 초창기 한국 고고학사의 증인이자 파수꾼이었다. 전시에 나올 회고록에서, 아리미쓰는 조선 잔류를 명령받은 1945년 12월31일 밤 서울 하늘을 올려다 보며 이렇게 적었다. “이상한 운명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그믐날 밤하늘을 올려다 보면, 온 하늘의 별은 지상의 소동이나 개인의 감상에 관계없이 반짝반짝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 6월3일까지. www.koryomuseum.or.jp
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제공 고려미술관
<한겨레 인기기사>
■ 전여옥, 신지호, 진수희 사실상 공천 탈락…친이계 반발 일듯
■ 새누리당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해
■ 빅뱅 “난 살아 있다!”…대성 ‘날개’부르며 공중으로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1946년 당시 아리미쓰가 참여한 경주 호우총 발굴현장과 조사단원들의 모습
<한겨레 인기기사>
■ 전여옥, 신지호, 진수희 사실상 공천 탈락…친이계 반발 일듯
■ 새누리당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해
■ 빅뱅 “난 살아 있다!”…대성 ‘날개’부르며 공중으로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