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화상
화가 이인성 탄생 100돌 전시
1930~40년대 거장…38살 요절
서양미술 영향 속 치열한 작업
처음 공개되는 그림·자료 등 빼곡
1930~40년대 거장…38살 요절
서양미술 영향 속 치열한 작업
처음 공개되는 그림·자료 등 빼곡
1930년대, 조선의 화단에선 ‘향토색 미술’ 논쟁이 한창이었다. 강렬한 색채로 조선의 풍광과 조선 사람의 생활상을 그리는 ‘향토색 미술’에 대한 미술계의 의견은 크게 엇갈렸다.
전통 회화의 연면한 흐름을 부정한다는 비판도 나왔고, 당대의 미술 이론가 근원 김용준 같은 이는 정반대로 향토색 시도를 조선 회화의 전통과 연결하며 긍정적으로 봤다. 조선 화가들의 자생적 노력이란 평가도 있었지만 일본 제국주의가 의도한 미술이란 시각도 있었다.
분명한 것은 서양 미술의 세례를 받고 어느 정도 지난 시점에서 당시 많은 화가들이 향토색 그림에 매달렸고, 나름의 성과를 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이 향토색 시대 가장 돋보이는 결실을 거둔 화가가 이인성(1912~1950)이란 점은 이견이 없다. 보통학교(일제 시대 초등학교)만 나왔지만 미술을 시작하자마자 단숨에 10대 나이에 주목받는 화가로 떠올랐고, 일본 유학 시절 ‘조선의 천재 소년’으로 불린 이인성은 한국 서양화의 성숙기였던 1930~40년대를 대표하는 화가로 꼽힌다. 하지만 겨우 서른여덟 나이에 요절한데다 작품들이 소장가들의 품속에서 나올 기회가 없어 사실상 ‘잊힌 화가’가 되기도 했다. 타계 이후 한참 지난 뒤에야 재조명되기 시작해 2000년 작고 50주기 전시회가 열리면서 비로소 ‘한국의 고갱’이란 별명과 함께 부활했다.
그렇지만 이인성은 여전히 가장 만나기 어려운 작가다. 작품이 많지 않고 쉽게 공개되지 않는 탓이다. 최근 새로 단장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이 첫 전시로 야심차게 마련한 ‘향-이인성 탄생 100주년 기념전시회’는 이 접하기 힘들었던 작가를 12년 만에 제대로 만나볼 수 있는 기회다. 전시 제목에 붙은 ‘향’(鄕)은 그가 사랑한 고향 대구를 뜻하기도 하고 동시에 ‘예술적 고향’, 혹은 향토의 ‘향’이기도 한 중의적 표현이다.
이번 전시는 이인성에 대한 다양한 자료와 처음 공개되는 작품들을 모아 ‘인간 이인성’의 면모를 입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도록 꾸몄다. 대표작 <가을 어느 날>(1934)과 <해당화 >(1944·오른쪽 그림)를 비롯해 여러 자화상들(왼쪽 그림), 그리고 초기 동양화 등 다양한 작품들이 시대별, 장르별로 전시된다.
이인성은 아들 이채원씨가 “어릴 때 아버지가 의사나 건축가인 줄 알았다”고 할 만큼 해부학 책부터 건축책 등 온갖 책과 자료를 읽으며 공부했던 작가였다. 그가 평생 모았던 다양한 책과 일본 엽서 등의 많은 자료들도 함께 공개한다.
이인성의 그림은 동시대 작가였던 이중섭·박수근·김환기와는 확연히 다르다. 이중섭·박수근처럼 전위적이지는 않았지만 그 시대 세계 모든 중요한 화가들이 그랬듯 후기 인상파 등 유럽 미술의 영향을 받으며 치열하게 자신만의 예술로 승화해낸 열정이 절로 느껴지는 힘을 지녔다.
아직도 이인성에 대해선 궁금한 점이 많이 남아 있다. 자화상을 보면 대부분 눈을 감고 있는 듯 눈동자를 또렷하게 묘사하지 않았다. 왜 그는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을까. 그리고 향토색을 묘사하기 위해 여름 풍경을 집요하게 그린 그가 유독 대작인 <가을 어느 날>에선 왜 가을을 그렸는지, <해당화>에선 해당화가 6월에 피는 꽃인데 인물들의 옷은 왜 추운 계절 차림인지 등등 수수께끼들이 상당하다. 관객 나름대로 느끼고 추측해보는 것도 또다른 재미가 될 듯하다. 8월26일까지. 무료. (02)2188-6231.
구본준 기자 bonbon@hani.co.kr
도판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한겨레 인기기사>
■ “군인 진보당원 색출” 김 일병이 불안하다
■ 진중권 “박근혜씨는 김정일 개XX라고 못하죠”
■ ‘부숴버려’ 고함 속 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비 제막식 거행
■ ‘한국의 고갱’ 자화상엔 눈동자가 없다
■ [세상읽기] 진보여, 어디로 가는가? / 진중권
<해당화>(1944)
■ “군인 진보당원 색출” 김 일병이 불안하다
■ 진중권 “박근혜씨는 김정일 개XX라고 못하죠”
■ ‘부숴버려’ 고함 속 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비 제막식 거행
■ ‘한국의 고갱’ 자화상엔 눈동자가 없다
■ [세상읽기] 진보여, 어디로 가는가? / 진중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