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스틸 조각 <큰 나무와 눈>. 반짝이는 금속 공 표면에 비치는 이미지들은 삶과 죽음, 현실과 신화를 넘나드는 상상력을 드러낸다. 리움 제공
삼성 리움미술관서 전시회
원이나 구, 평면으로 구성
사물과 삶의 근원 통찰해
야외 설치 ‘큰 나무와 숲’
73개 공으로 릴케 시 연상
원이나 구, 평면으로 구성
사물과 삶의 근원 통찰해
야외 설치 ‘큰 나무와 숲’
73개 공으로 릴케 시 연상
세계적인 조각가 아니시 카푸어(58)의 전시가 내년 1월27일까지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열린다. 지금 세계 미술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스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카푸어는 회화부터 대형 공공미술품까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면서도 늘 극도로 간결해서 강렬한 형태로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을 선보여왔다. 이번 전시회는 처음으로 한국에서 열리는 대형 전시이며, 초기 회화부터 최근의 거대한 조형물들까지 그의 30년 작품을 망라하고 있다.
■ 동양과 서양 사이, 그리고 물질의 근원 카푸어는 인도 뭄바이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작가로 성장했다. 그래서 동양과 서양 문화권 모두를 아우르는 동시에 자기만의 고유한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인도에서 열아홉 살까지 살다가 영국으로 이주해 미술을 전공한 카푸어는 1979년 학업을 마친 뒤 3주 동안 조국 인도를 돌아본 여행이 자기 미술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고 말한다. 삶과 철학, 종교가 융합된 인도의 모습이 그에게 비로소 새로운 깨달음으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이후 카푸어는 인도의 안료를 활용하는 작품으로 활동을 시작했고, 독특한 조형 작업으로 명성을 얻어나갔다. 그의 작품의 특징은 ‘근원’을 느끼게 하는 힘이다. 그가 빚은 형태들은 원이나 구 또는 기본적인 평면들로 아주 단순한데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더 초월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대부분의 미술 작품들이 그렇지만 카푸어는 특히 직접 작품을 대면하면서 몸으로 느낌을 받아들여야 진면목을 알 수 있는 작가다.
이처럼 형태의 근원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면서 재료 자체의 물성을 극대화시키기 때문에 물질의 근원 또한 강조된다. 유리 섬유나 안료 등으로 작가만의 표면을 만들어내 깊게 빨려들어가는 듯한 경험을 하게 만든다.
■ 미술관 공간과 작품이 연결되는 독특함 이번 전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자가 생성’(Auto-generation) 시리즈, 그리고 최근 해오고 있는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조각들이다. 작품들이 전시 공간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그의 작품 특성에 맞게 전시실만이 아니라 야외 정원까지 이용해 미술관 건물과 작품이 결합되는 큰 규모의 작품들이 설치됐다. 안쪽으로 움푹 파인 공간을 강조하는 ‘보이드’ 시리즈 중 하나인 1991년 작 <땅>의 경우 리움미술관 바닥을 뚫고 전시했고, <노랑>(1999)의 경우는 작품이 벽과 하나가 되는 ‘건축화된 조각’이 되도록 설치했다.
하지만 아무래도 가장 큰 볼거리는 영국 런던 로열아카데미와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에 소개되어 인기를 끌었던 2000년대 대표작 <큰 나무와 눈>(2009)일 듯하다. 루이스 부르주아의 거대한 거미 조각 <마망>이 있던 리움의 앞마당에 들어선 이 작품은 스테인리스 공 73개가 15m 높이로 쌓인 형태로, 릴케의 시집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반짝이는 공에 비친 이미지들, 그리고 공들이 중첩되면서 만들어내는 작품 자체의 이미지가 하나로 섞이며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전시장 바닥에 놓인 거대한 왁스 덩어리가 한 시간에 한 바퀴씩 돌아가는 작품 <나의 붉은 모국>(2003)은 그가 추구해온 ‘자가 생성’ 시리즈의 미학을 잘 보여준다. 커다란 해머가 시계바늘처럼 왁스를 훑고 지난 거친 흔적, 해머에 밀린 왁스 덩어리가 변형된 모습이 의도된 것이면서 의도되지 않은 이미지를 표현한다. 강렬하기 짝이 없는 왁스의 붉은색은 그가 모국 인도를 상징하는 색으로 고른 것이다. 어른 8000원, 초중고생 5000원. (02)2014-6900.
구본준 기자 bonb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포착] MB큰형 이상은 귀국 “6억 전달, 들은 바 없다”
■ “아버지 지시”…MB 일가 노림수는?
■ 아이폰5 국내 출시 또 연기…애타는 소비자
■ 530살 접목 감나무, 해마다 감 5천개 ‘노익장’
■ 김성태 의원, 국감내내 ‘지역구 민원 압력’ 빈축
■ 애플, DOA라더니 7인치 아이패드 미니
■ [화보]응답하라 MBC
작품 <무제> 앞에 선 아니시 카푸어. 리움 제공
■ [단독 포착] MB큰형 이상은 귀국 “6억 전달, 들은 바 없다”
■ “아버지 지시”…MB 일가 노림수는?
■ 아이폰5 국내 출시 또 연기…애타는 소비자
■ 530살 접목 감나무, 해마다 감 5천개 ‘노익장’
■ 김성태 의원, 국감내내 ‘지역구 민원 압력’ 빈축
■ 애플, DOA라더니 7인치 아이패드 미니
■ [화보]응답하라 MBC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