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연극인생 50년 ‘카리스마 박’
“박수받을 때 가장 행복했다”

등록 2012-12-13 20:16수정 2012-12-14 18:29

배우 박정자씨가 데뷔 50년을 기념해 연극 <19 그리고 80>을 공연한다. 6일 서울 중구 삼일로창고극장에서 만난 그는 “연극인생 50년을 돌아보면 극장에 있을 때가 가장 행복했고, 관객들에게 박수받을 때 가장 기뻤다”고 말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배우 박정자씨가 데뷔 50년을 기념해 연극 <19 그리고 80>을 공연한다. 6일 서울 중구 삼일로창고극장에서 만난 그는 “연극인생 50년을 돌아보면 극장에 있을 때가 가장 행복했고, 관객들에게 박수받을 때 가장 기뻤다”고 말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대학 2학년때부터 140여편 연기
“날 여기까지 오게 한 건 관객 덕
하나부터 열까지 고맙고 감사해”
50년 기념작품 ‘19 그리고 80’
88석뿐인 삼일로창고극장 공연
“80살까지 이 연극은 하고 싶어”
‘데뷔 50년’ 기념 공연하는 박정자

묵직한 중저음의 목소리, 쏘는 듯한 강렬한 눈빛. 누구든지 그의 무대를 한 번이라도 경험하면 쉽게 잊을 수 없다. 강함과 부드러움을 갖춘 카리스마의 배우 박정자(70)씨가 올해로 연극인생 50년을 맞았다. 이화여대 신문학과 2학년 시절 문리대 연극반에서 장 밥티스트 라신(1639~99)의 비극 <페드르>에 시녀 ‘파노프’ 역으로 출연한 것이 연극 무대와의 첫 인연이었다. 이후 <굿나잇 마더>, <신의 아그네스>, <위기의 여자>, <대머리 여가수>,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등 140여편의 연극에서 존재감 넘치는 연기를 펼쳐 한국을 대표하는 여배우가 됐다.

“벅차게 살아온 것 같아요. 연극 관객이 없으면 내 존재도 없는 거예요. 관객이 나를 여기까지 오도록 도와주고 지켜주고, 나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가장 큰 역할을 해주었다고 생각을 해요. 하나부터 열까지 관객에 대한 고마움을 늘 느끼고 있습니다.”

박정자씨는 “50년을 돌이켜보면 관객들로부터 박수받을 때가 가장 행복했다”며 책 한 권을 건넸다. 후배 연극인들이 그의 연극 인생을 한국 연극사 속에서 조망한 <박정자와 한국 연극 오십년 1962~2012>(안치운·노이정·조경아 지음)이다.

그는 데뷔 50년을 기념해 연극 <19 그리고 80>을 14일부터 서울 명동성당 옆 삼일로창고극장 무대에 올린다. 미국의 소설가이자 영화감독 콜린 히긴스(1941~88)가 1971년 발표한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다. 자살에만 관심이 있는 19살 청년 ‘해럴드’와 그에게 삶의 지혜와 희망을 가르쳐 주는 80살 할머니 ‘모드’의 우정과 사랑, 이별을 다룬 작품이다. 미국과 프랑스에서 영화와 연극, 텔레비전 드라마로 만들어져 사랑을 받았다.

그는 이 연극을 1986년 국내 초연에서 처음 보고 나이가 들면 꼭 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래서 2003년 자신이 직접 제작하고 주인공 모드로 출연했다. 그리고 2004년과 2006년 재공연, 2008년 뮤지컬로 공연했다. 5번째 무대인 이번 공연에도 직접 제작자로 나선다.

그는 “50년 동안 많은 작품을 했지만 <19 그리고 80>이야말로 가장 매력 있고 내 나이에 맞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80살까지 이 연극만은 꼭 하고 싶어요. 배우뿐만 아니라 프로듀서 역할까지 해야 하니까 아이 낳는 것보다 더 힘드네요. 그런데 80살이라는 목표가 있어서 행복합니다. 거기서 모드가 빨리 오라고 날 기다리고 있어요.(웃음)”

그는 “80살 할머니 모드는 나의 롤모델”이라고도 했다. “모드는 사랑스럽고 지혜로워요. 무소유를 실천하는 환경운동가예요. 시청 앞에서 스모그와 매연에 질식당한 나무를 뽑아다가 공기 맑고 햇볕 좋은 데 심어주고, 동물원의 물이 너무 더러우니까 바다표범을 자기 집에 데려다가 목욕시켜서 바다에 풀어주죠. 자기 소유는 아무것도 없어요. 저도 연극 무대에서만은 그렇게 살고 싶어요. 무소유, 무공해!(웃음)”

박정자와  연극 <19 그리고 80> 해럴드 역의 조의진.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박정자와 연극 <19 그리고 80> 해럴드 역의 조의진.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그는 “모드 같은 할머니들이 세상에 넘쳐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가 삼일로창고극장을 선택한 까닭도 흥미롭다. 1975년 개관한 삼일로창고극장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민간 소극장이자, <고도를 기다리며>, <빨간 피터의 고백>, <금관의 예수> 등 수많은 명작과 연극인들을 배출해낸 소극장 연극의 산실. 그도 1975년 개관 기념작 <대머리 여가수>에 출연했다.

그는 “창고극장은 한국 연극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가난하기 때문에 아름다운 이 공간에서 연극 인생 50년을 기념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12월에 예수님도 그 낮은 말구유에서 탄생하시잖아요.(웃음) 이 극장은 88석밖에 안 돼요. 저를 아주 낮게 내려놓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가까운 이들에게 편지를 썼어요. ‘아주 조그만 극장, 88석, 낮은 자세로, 가난해서 아름다운 이 공간으로 여러분을 초대한다’고요.”

이번 공연에서 2006년에도 <19 그리고 80>을 함께 했던 연출가 강영걸(69)씨와 다시 손을 잡았다. 화제의 ‘5대 해럴드’ 역에는 지난 10월 국립극단의 ‘차세대 연극인 스튜디오’ 프로그램의 연극 <손님>에서 무서운 신인배우로 떠오른 조의진(29)씨를 캐스팅했다. 또 조준형(버나드), 박혜수(체이슨 부인), 김은석(신부), 이지혜(마리)씨 등 대학로의 쟁쟁한 배우들이 함께한다. 공연 기간에 삼일로창고극장 2층 갤러리에는 박정자씨의 연극인생 50년을 담은 사진, 팸플릿, 포스터, 대본, 동영상 등이 전시된다. 내년 2월3일까지. (02)319-8020.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불법 여론조작한 새누리 ‘십알단’ 정체 알고보니
‘연평도 포격징후’ 내부보고 묵살…또 드러난 안보실패
박근혜 “국정원 의혹 제기 문재인이 책임져라”
북한이 ‘박근혜 당선’ 원하는 진짜 이유 있다
외관 불량 아이폰5 그냥 쓰라고?
아내 눈엔 ‘그냥 백수’ 밥 말고 밥벌이를 해다오
[화보] 새누리 ‘십알단’ 불법 선거운동 증거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