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스릴러·시대극·코미디…새해 뮤지컬도 풍성

등록 2012-12-30 20:36

뮤지컬 <레베카>의 한 장면.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뮤지컬 <레베카>의 한 장면.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히치콕 동명영화 각색한 ‘레베카’
내한공연 ‘애비뉴 큐’도 화제작
‘살짜기 옵서예’ 17년만에 재공연
2013년에도 국외 작품에 창작 공연들까지 다양한 뮤지컬이 새롭게 소개된다. 미국·영국·오스트리아·프랑스 등 국적도 다양하고 스릴러·시대극·코미디·멜로 등 성격도 각양각색이다.

국외 뮤지컬의 한국어판 공연 가운데 처음 소개되는 작품은 1월12일~3월31일 서울 역삼동 엘지아트센터에서 공연하는 <레베카>다. <레베카>는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로도 잘 알려진 소설을 <엘리자벳>, <모차르트!>의 작곡가 실베스터 르베이, 극작가 미하엘 쿤체 콤비가 만든 뮤지컬이다. 죽은 전부인 레베카의 그림자를 안고 사는 남자 막심 드윈터와 레베카를 숭배하는 댄버스 부인, 댄버스 부인에 맞선 ‘나’(화자)를 중심으로 한 스릴러극이다. 유준상·류정한·오만석·옥주현·신영숙 등이 출연한다. 지난 11월 경기도 용인에서 한 달 동안 공연한 <레 미제라블>은 2월1일~3월1일 부산 센텀시티 소향아트홀에서, 4월9일~5월9일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에서 공연한다.

하반기에도 새 작품이 여럿 찾아온다. 프랑스 뮤지컬 <클레오파트라>(7월23일부터 동숭동 대학로뮤지컬센터)는 클레오파트라와 카이사르, 안토니우스를 주인공으로 한 시대극으로 화려한 애크러배틱이 볼거리다. <스칼렛 핌퍼넬>(7월2일~9월8일, 엘지아트센터)은 프랑스대혁명기를 배경으로 삼아, 영국 귀족이 변장을 하고 밤이 되면 억울한 귀족들을 구하는 영웅으로 변신한다는 내용을 다룬 미국 브로드웨이 뮤지컬이다. 동명의 뮤지컬 영화를 뮤지컬로 만든 <하이스쿨 뮤지컬>(7월2일~9월1일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라는 제목의 영화로도 소개된 <보니 앤 클라이드>(9~10월)도 서울 흥인동 충무아트홀에서 한국어판 공연을 시작한다. <고스트>(11월26일~2014년 8월24일, 서울 신도림동 디큐브아트센터)는 패트릭 스웨이지와 데미 무어가 주연한 영화 <사랑과 영혼>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로, 지난해 6월 영국 웨스트엔드에서 처음 공연한 최신작이다. 올해 성공리에 내한공연을 마친 <위키드>는 한국 배우들이 출연하는 한국어 공연으로 가다듬어 11월 서울 잠실 샤롯데시어터에서 개막할 예정이다.

내한공연 가운데는 8~10월 샤롯데시어터에서 공연이 예정된 <애비뉴 큐>가 단연 화제작이다. 2003년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선보인 뒤 같은 해 브로드웨이에도 진출했고 지금까지 공연되고 있다. 주인공 프린스턴이 뉴욕의 애비뉴 큐에 이사오면서 겪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다룬다. 미국 공영방송 <피비에스>(PBS)의 어린이 프로그램 <세서미 스트리트>의 캐릭터 인형을 배우들이 손에 낀 채 인종차별·동성애 등에 대해 재치있는 입담을 나눈다. 뮤지컬 <아메리칸 이디엇>(9월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도 눈에 띈다. 록밴드 그린데이가 2004년 발표해 인기를 얻은 ‘아메리칸 이디엇’의 수록곡들로 만든 뮤지컬로, 2010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했다. 오리지널 공연팀이 내한한다.

창작 뮤지컬 가운데 눈여겨볼 작품으로는 17년 만에 재공연하는 <살짜기 옵서예>(2월19일~3월31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씨제이토월극장)가 첫손에 꼽힌다. 1966년 공연해 한국 창작뮤지컬의 효시로 불리는 작품으로, 김선영·홍광호·김성기 등이 출연한다. <그날들>(4~6월, 대학로뮤지컬센터)은 가수 김광석의 노래로 만드는 뮤지컬로, <김종욱 찾기>를 만든 장유정 연출가의 신작이다. <해를 품은 달>(6~7월, 예술의전당 씨제이토월극장), <마당을 나온 암탉>(7~8월,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써니>(하반기, 예술의전당 씨제이토월극장) 등 드라마와 영화로 인기를 얻은 작품들도 무대에 오른다.

박보미 기자 bomi@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아이폰5·페북, 올 IT기술 10대 실패 장식?
불국사가 통일신라 건축물? 박정희 정권 ‘상상력의 산물’
“말한 것 외에 쓰지말라”는 박근혜 대변인
음식물쓰레기통 앞에 버려진 투표함. 왜?
김치는 쭈~욱 찢어 먹어야 정말 제맛인가요?
박근혜 당선인님, 대탕평에 MBC·쌍용도 있나요?
[사설] ‘불통과 무지’, 박 당선인 인사 걱정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