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죽부인 껴안고, 직접 노젓는 ‘쉼터 박물관’

등록 2013-07-25 19:51수정 2013-07-26 10:40

국립민속박물관 ‘쉼’ 특별전은 ‘노 저으며 해금강 유람하기’ 등 새로운 전시기법을 썼다.
국립민속박물관 ‘쉼’ 특별전은 ‘노 저으며 해금강 유람하기’ 등 새로운 전시기법을 썼다.
[문화‘랑’] 문화인
국립민속박물관 ‘쉼’ 특별전
유물과 작품 118점 입체적 감상
“박물관은 더 이상 공부하는 곳이 아니라 쉬어가는 공간이어야 합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작심하고 일을 벌였다. ‘우리 조상들은 여름을 어떻게 났을까’를 테마로 ‘쉼’ 특별전(24일~9월23일)을 열었는데, 유물과 작품 앞에 평상을 놓고 돗자리를 펴고 죽부인을 뒀다. 천진기 관장은 “서서 볼 사람은 서서, 앉고 싶은 사람은 앉아서, 아예 눕고 싶은 사람은 누워서 봐도 좋다”며 “휴가철 몸 둘 곳, 몸 둘 바 없는 분들은 이곳에 와서 쉬다 가라”고 했다.

“서늘한 댓돌에 고단한 몸을 기대니 푸른 그늘 실바람 소리에 새소리 들레어라. 스스르 감긴 눈 다시 뜨니 어깨에 괴나리봇짐, 한 손에 긴 담뱃대. 매운 담배연기에 두 눈 비벼 다시 보니 저기 보이는 곳, 금강산이 분명하고 회암선생 노래한 무이구곡 분명하고 관동지방 아름다운 관동팔경 아니런가.” 1부 ‘푸른 그늘 실바람 소리에 새소리 들레어라’ 안내문이 한편의 시다.

<괴나리봇짐, 짚신, 담뱃대> <도시락, 표주박, 휴대형 지도> <휴대용 소형벼루, 먹통, 붓> 등 묶음으로 둔 유물들이 뒤를 잇고, 시대와 작자를 달리한 금강산 유람도, 관동팔경도가 나란히 전시돼 있다. 굳이 ‘조선시대 후기 작자미상’ 등 유물에 대한 설명을 읽지 않아도 된다. 기량 전시과장은 “잘된 시 한편이 구구절절 설명문보다 훨씬 낫다”고 했다. 코너를 돌면 모형 배가 나온다. 노를 저으면 뱃머리가 나아가면서 해금강 절경이 화면에 펼쳐진다. 옛 그림에서 뽑아 편집한 영상이다. 배에서 내리면 오락실에 있을 법한 게임기 차례다. 두 버튼을 번갈아 두들겨 화면 속으로 들어가면 말을 타고 옛 그림 속 관서지방 명승을 구경할 수 있다.

2부 ‘홑적삼에 부채 들고 정자관 내려놓고 있자니’는 마루를 깔았다. 대청 안쪽으로 선비 내외가 기거하는 안방이 있고, 담 너머 커다란 화면에는 구름이 흐르고 바람이 분다. 마루에 앉아 흔들리는 보리밭을 보면서 매미 소리, 솔바람 소리를 들으며 생각에 잠겨도 좋다. 육송으로 만든 칸막이에서 솔향이 풍긴다. 시각 위주에서 벗어나 청각, 촉각, 후각 등 오감으로 감상 범위를 넓혔다. 3부 ‘한여름 밤 꿈, 속세를 벗어나니’. 소파에 앉아서 15×3m 대형화면에 펼쳐진 금강산 여행길 애니메이션을 볼 수도 있고, 피곤하면 누워서 천장의 화면을 통해 밤하늘 별자리, 하늘의 뭉게구름, 처마 위 푸른 하늘을 보다 설핏 잠들어도 무방하다.

그렇게 노는듯 쉬는듯 감상하는 유물과 작품이 모두 118점이다. 가장 두드러진 전시기법은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체험. 정보과학예술대학원 아카마쓰 마사유키 교수팀이 만든 기술로, 연, 모란, 나리꽃 등 꽃사진에 휴대폰을 대면 3D 화면으로 꽃이 피어난다. 전시도록과 리플릿도 그렇게 만들었다.

“민속은 의식주에 총체적으로 걸친 것이잖아요. 관련 유물들을 떼어놓으면 맥락을 잃고 박제가 되죠. 입체적으로 체험하고 느낄 때 그 의미가 제대로 살아납니다. 이번 전시기법은 그런 고민을 풀어보려는 시도입니다.” 전시기획자인 김희수 학예연구사의 말이다.

글·사진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