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분단 칼끝에 선 탈북자의 불안

등록 2014-11-09 19:25

탈북 작가 선무 신작전 ‘홍·백·남’
탈북 작가의 선무의 신작 중 하나인 ‘메아리’ 연작.
탈북 작가의 선무의 신작 중 하나인 ‘메아리’ 연작.
핏물처럼 흘러내리는 빨간 색면과 심해처럼 검푸른 색면이 큰 화폭 한가운데서 서로 맞선다. 두 색깔이 부딪혀 만든 날카로운 수직의 경계면, 그 아래 섬광처럼 창백한 해골이 그려졌다. 죽음을 낳는 두 색면의 갈등을 증거하는 상징물이다.

탈북 작가 선무(43)씨의 2m 넘는 신작 <리념 2>는 핍진한 색면의 깊이감과 거친 질감이 선뜩하게 다가오는 그림이다. 그가 뼛속 깊이 체감해온 분단의 현실이 북의 붉은색과 남의 파란색이 대립하는 색면을 통해 울려온다.

이 대작이 나온 서울 소격동 트렁크갤러리의 신작전 ‘홍·백·남’(25일까지)은 북한 사회 단면을 풍자했던 이전 작업에 비춰 간단치 않은 변화를 담고 있다. <리념 2>처럼 붉고 푸른 추상적 색면이 압도하는 그림들과 종이를 오려붙여 절규하는 인물군상을 묘사한 ‘메아리’ 연작(사진) 등이 등장한다. 작가는 신작들이 최근 자신을 엄습했던 봉변의 기억에서 착상한 것이라고 했다.

작가는 7월 중국 베이징 한 미술관에서 북한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전시하려다 개막날 북한대사관의 신고를 받은 중국 공안들이 급습해 작품들을 압수하면서 황급히 귀국해야 했다. 북한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2001년 두만강을 건너와 남한 공민이 됐지만, 여전히 분단 사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 사건이었다.

화면 맨 위의 작은 인물들 외엔 전체 화폭을 흘러내리는 붉은 화면으로만 채운 ‘별빛’ ‘노루잡이’ 등이 출품작들을 돌려받지 못한 채 지금도 신변에 불안을 느끼며 사는 작가의 심경을 드러낸다. 압수된 설치작품을 재현한 ‘선무의 노래’는 북한 국기가 그려진 커튼 아래 무궁화 등의 조화들이 철조망과 함께 담긴 꽃병을 통해 분단 칼끝에 선 탈북자의 처지를 은유한다. 작가는 전시 팸플릿에 독백처럼 지은 노래 가사를 적어 넣었다. “세상의 평화를 이야기하는 것이 ‘죄’가 되어 돌아왔다. … 그 ‘죄’인이 북경에서 전시하면서 소리쳐 부르려고 했던 노래가 여기 있다.” (02)3210-1233.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도판 트렁크갤러리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