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우린 록의 슈퍼히어로…흥분주의보 발령”

등록 2014-11-30 19:12수정 2014-11-30 21:41

록 밴드 ‘터네이셔스 디’
록 밴드 ‘터네이셔스 디’
배우 잭 블랙, 록 밴드로 첫 내한공연
카일 개스와 ‘터네이셔스 디’ 결성
그래미상 후보 오를 정도로 수준급
“스스로 코미디로만 생각하지 않아
3명 멤버 추가 꽉 찬 무대 꾸밀것”
영화 <스쿨 오브 락>의 괴짜 교사와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의 음반가게 직원 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배우 잭 블랙(사진 오른쪽)이 한국을 찾는다. 배우가 아닌 로커로. 잭 블랙은 기타리스트 카일 개스(왼쪽)와 꾸린 록 밴드 ‘터네이셔스 디’ 멤버로 오는 5~6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첫 내한공연을 한다. 1994년 결성한 터네이셔스 디는 <터네이셔스 디>(2001), <더 피크 오브 데스티니>(2006), <라이즈 오브 더 페닉스>(2012) 등 3장의 정규 앨범을 냈다. 모든 앨범의 드럼 연주는 너바나 출신이자 푸파이터스를 이끌고 있는 데이브 그롤이 맡았다. 펄 잼, 푸파이터스 등 유명 밴드의 오프닝 밴드로 무대에 서고 대형 록 페스티벌에도 출연하는가 하면, 그래미상 최우수 코미디 앨범 후보에도 올랐다. 스스로를 소개할 때 “경고: 이 밴드를 보는 것은 29번의 흥분 상태(오르가슴)를 느끼는 것과 같음”이라는 담뱃갑 경고문 같은 글귀를 붙이는 ‘배불뚝이 아저씨 로커’ 잭 블랙과 전자우편으로 얘기를 나눴다.

-한국 방문이 처음입니다. 가장 해보고 싶은 게 뭔가요?

“한국에 대해 많이 알진 못해요. 영화에서 한국 노래를 들어봤을 수는 있겠지만, 기억을 못하겠네요. 유일하게 아는 건 싸이의 ‘강남스타일’입니다. 한국에서 해보고 싶은 건 진짜 맛있는 바비큐를 맛보는 거예요. 정말 기대돼요.”

-둘이 처음에 어떻게 만났나요? 밴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비결이 있다면요?

“우리는 극단에서 처음 만났어요. 곧 ‘절친’이 됐고, 함께 밴드를 만드는 것에도 마음이 통했죠. 우린 형제와 같아요. 그래서 예전에는 진짜 형제처럼 많이 싸우기도 했어요. 서로를 개인적으로도 잘 알고, 음악적으로 중요한 파트너이기도 하지요. 음식으로 비유하자면, 내가 고기라면 카일은 맛있는 소스와 같은 사이입니다.”

-터네이셔스 디는 어떤 밴드들의 영향을 받았나요?

“말하자면 끝도 없겠지만, 레드 제플린, 세바도, 오지 오즈본, 어지 오버킬, 에디 머니, 에어로스미스, 너바나 등이 있습니다.”

-어쿠스틱 기타로 연주하는 어쿠스틱 메탈을 고집하는 이유가 있나요?

“전기기타가 총이라면 어쿠스틱 기타는 칼과 같아요. 우리는 ‘닌자’랍니다. 우리는 긴 칼을 쓰고 별(표창)을 던져요. 하하. 어쿠스틱 기타가 더 품격 있고 세련되게 음악을 전달하면서도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당신에게 록은 어떤 의미인가요?

“우리를 가장 우리답게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록이 예전에 비해 점차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우리가 그 록의 마지막 주자 같은 마음으로 전 세계에 록의 씨앗이 퍼지도록 하고 싶은 마음입니다. 우리는 우리를 단순히 코미디로만 생각하지 않아요. 우리의 음악은 조크가 아니며, 록의 슈퍼히어로라고 생각해요.”

-직접 대본을 쓰고 출연한 영화 <터네이셔스 디-운명의 피크>(2006)가 있었죠. 후속편 계획은 없나요?

“후속편은 계획하고 있지 않아요. 대신 다른 영화, 앨범, 웹 시리즈, 운동 비디오 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한국 공연에서 어떤 무대를 선보일 건가요?

“원래 터네이셔스 디는 듀오인데요. 이번에 한국 팬들에게 더 꽉 찬 사운드와 무대를 보여주기 위해 기타, 베이스, 드럼 3명의 밴드 멤버를 추가해 함께 갑니다. 우리 5명이 보여줄 에너지 넘치는 무대를 기대해도 좋아요. 한국에서 만나요!” 공연 문의 (02)563-0595.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사진 프라이빗커브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