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2015년에 호출한 1981년 ‘그때 그공연’

등록 2015-03-04 19:55

‘1981년5월27일’.
‘1981년5월27일’.
공간소극장 재개관 기념무대

34년전 열린 시낭독퍼포먼스
같은 장소서 똑같이 재연
34년 전 그 무대, 그 몸짓 그대로였다. 좁은 소극장 바닥. 시인은 웅얼웅얼 뜻없는 말들을 곱씹고, 옆에 앉은 미술가는 손톱을 깎았다. 툭툭 손톱 깎는 소리가 스피커에서 울리면서 시인의 우물거리는 음성 사이로 리듬을 넣는다. 의미없는 말들과 사물의 소리가 뒤범벅된 이 퍼포먼스의 제목은 ‘1981년5월27일’.

1981년 5월27일 서울 계동 공간사랑 소극장에서 펼쳤던 퍼포먼스.
1981년 5월27일 서울 계동 공간사랑 소극장에서 펼쳤던 퍼포먼스.
원로 전위미술가 김구림(79)씨와 시인 조정권(66)씨. 두 사람이 1981년 5월27일 서울 계동 공간사랑 소극장에서 펼쳤던 퍼포먼스를 4일 낮 같은 장소에서 34년 만에 다시 풀어냈다. 머리칼 희끗해지고 얼굴엔 주름이 늘어났지만, 똑같은 소품 들고 81년 난장의 분위기를 진중하게 재연해 갈채를 받았다. 지난해 9월 고 김수근 건축가의 공간사옥을 인수해 아라리오뮤지엄을 차린 아라리오그룹(회장 김창일)이 사옥 안 공간소극장 재개관을 알리면서 두 작가에게 부탁해 마련한 자리다. 같은 ‘공간’이지만, 다른 시간, 다른 관객 앞에서 펼쳐진 난장은 두 작가의 뜻깊은 재회 자리이기도 했다. 공간소극장은 70~80년대 사물놀이, 실험예술 등 신선한 콘텐츠로 문화계 오아시스로 자리잡았던 명소였다. 이 퍼포먼스는 김 작가가 당시 상파울루 비엔날레 초청전시를 앞두고 사전 작업의 하나로 제안해 이뤄졌다. “기존 시화전의 틀을 벗어나 소리끼리 맞부딪히는 좀더 자유로운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김구림), “프랑스에서 유행한 음성시를 국내에 선구적으로 펼쳐 보였던 작업”(조정권)이었다고 두 사람은 회고했다. 80년 광주의 충격으로 실어증에 걸린 당대 문화예술의 내면을 표출했다는 평가도 있다.

재개관한 소극장에서는 이달 말 색소폰 연주자 강태환씨의 공연을 시작으로, 명창 배일동씨 등 중견 예술인들의 ‘마스터스 스테이지’가 이어질 예정이다.

글·사진 노형석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