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COMMON UNIVERSITY 플랫폼을 통해 공유 중인 중앙대 온라인 교육콘텐츠. 중앙대 제공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힘든 여건을 마주한 대학 교육의 상생 발전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중앙대는 최근 LIVE COMMON UNIVERSITY 플랫폼(lincplus.cau.ac.kr)을 통해 자체 제작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50여 개 대학과 기관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현재 중앙대가 공유 중인 온라인 교육 콘텐츠는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기획하고 개발한 사회 맞춤형 교육 콘텐츠들이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 역량을 내재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대학-기업뿐 아니라 대학-대학 간 협업을 통한 교육 콘텐츠 개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를 통해 투입 자원과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콘텐츠 중복 개발도 방지하며, 권역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촉진하는 중이다.
대표적 산학협력 교육인 표준현장실습제도 관련 콘텐츠도 개발·활용하고 있다. 교육의 질 제고와 안전망 구축을 위한 표준현장실습 사전 교육, 실습 중단 시 학생 보호를 위한 다빈치 현장교육(R.E.A.D.Y) 교육 콘텐츠가 그 주인공이다. 해당 콘텐츠는 한국산학연계현장실습지원협회(KACE)를 통해 전 대학에 공유될 예정이다.
중앙대가 공유하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는 AI와 빅데이터 등 신기술 분야, 미래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에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방대한 범위를 자랑한다. 맞춤형 명품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은 물론 여타 대학과 기관, 일반인에게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며 이를 확산하는 데 힘쓰고 있다.
중앙대가 이처럼 교육 콘텐츠 공유에 적극 나선 것은 대학이 함께 발전해 나아가는 데 있어 ‘협력’이 중요한 가치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CAU COMMON & INNOVATION UNIVERSITY’로 명명한 패러다임을 통해 대학 상생을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
고중혁 중앙대 산학협력단장은 “미래 산학연 협력의 새로운 도전과제는 ‘초연결-초협업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며 “그 첫 시작이 산학연 협력 기반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공유와 확산이다. 이러한 가치를 향후 산학협력 활동 전 분야로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박상규 중앙대 총장은 “중앙대학교가 보유한 명품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타 대학과 다양한 분야의 구성원에게도 제공함으로써 대학의 책무성을 다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중앙대가 지닌 교육 인프라를 공유하며, 상생 발전을 위한 개방적인 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자료 제공 : 중앙대학교
< 이 기사는 대학이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