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학교 프로젝트형 글로벌 역량강화 사업 수행기관 선정 현판제막식. 서강대 제공
서강대학교(총장 심종혁)는 5월 24(화) 오전 11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프로젝트형 글로벌 역량 강화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것을 기념하여 본관 1층에서 현판제막식을 개최하였다.
본 사업’은 ICT(정보통신기술) 선도 분야 해외 최고 수준 대학에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대학원생 등 국내 청년 인재들을 파견·교육하여 해외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ICT의 고급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선정된 대학은 1년 차 17.5억 원, 2년 차부터 연간 40억씩 6년간 최대 217.5억 원을 지원받는다.
서강대학교는 국내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AI선도형 글로벌 혁신 인재 양성지원’ 과제를 수행하며 사업 운영 및 성과관리, 해외 협력 대학 발굴, 파견 학생 선발 및 관리를 진행한다. 이는 기존 대학 교육을 통한 AI 인력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임을 고려한 것으로 본 사업을 통해 2027년까지 6년간 약 330여 명의 학생을 해외 우수 대학에 파견 ·교육하여 AI 고급인력을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해외 협력 대학은 컴퓨터과학 분야 QS 대학순위 세계 3위인 미국의 카네기멜론대학교(이하 CMU)로 추후 기술 분야의 우수성과 커리큘럼 등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위탁 교육기관을 확대할 예정이다. 본 사업을 통해 서강대학교 인공지능학과를 비롯한 컴퓨터공학과, 전자공학과 및 이공계열·인문사회 계열에서 AI를 연구하는 우수한 석·박사 과정 학생들은 CMU에서 6개월간 AI 과정에 지원할 수 있으며, 선발된 학생들은 6개월간의 교육비와 체류비 및 항공료 등을 지원받는다.
심종혁 서강대 총장은 환영사를 통해 “서강대학교는 AI교육 및 연구분야의 전문성으로 유기적인 연구 협력이 가능하며 기존 CMU와 글로벌 핵심 인재 양성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ICT 선도 분야의 고급 인력을 배출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주관 연구개발 기관으로서 사업 운영과 성과관리를 통해 실무능력을 갖춘 최고의 글로벌 인공지능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현판식에는 심종혁 총장을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송상훈 정보통신산업정책국장,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전성배 원장, 김종석 본부장과 존 강(John Kang) CMU 아시아 협력실장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격려하였다.
* 자료 제공 : 서강대학교
< 이 기사는 대학이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