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기업PR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유권열 교수 연구팀, 비생분해성 초미세플라스틱의 세포 밖 배출 촉진 기전 발견

등록 2022-08-26 16:45수정 2022-08-26 16:49

세포 내로 유입된 초미세플라스틱의 세포내 이동 억제를 통한 세포 밖 배출 촉진 기전 발견
  서울시립대 한승우 학생(왼쪽, 제1저자)와 유권열 교수(오른족, 교신저자). 서울시립대 제공
  서울시립대 한승우 학생(왼쪽, 제1저자)와 유권열 교수(오른족, 교신저자). 서울시립대 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 유권열 교수와 석박통합과정 한승우 학생이 세포내로 유입된 비생분해성 초미세플라스틱의 세포 밖 배출 촉진 기전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엔도사이토시스에 의해 세포 내로 유입된 비생분해성 초미세플라스틱이 미세소관을 따라서 핵주변으로 역행수송됨을 밝혀냈고 역행수송에 관여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6(HDAC6)의 활성을 억제해 엑소사이토시스에 의한 초미세플라스틱의 세포 밖 배출 촉진이 가능함을 제시했다.

유권열 교수는“HDAC6 활성 억제는 세포 내로 유입된 다양한 종류의 비생분해성 물질의 배출 촉진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고“세포 내로 유입된 이물질은 신속하게 제거되어야 세포에서 유발될 수 있는 산화스트레스, 염증스트레스 또는 세포 독성이 완화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7월 15일, 환경과학 분야 국제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21년 기준 IF 14.224, 상위 3.23%)에‘Increased clearance of non-biodegradable polystyrene nanoplastics by exocytosis through inhibition of retrograde intracellular transport’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에서 발췌한 연구 내용 요약 그림. 서울시립대 제공
              논문에서 발췌한 연구 내용 요약 그림. 서울시립대 제공

이 논문은 한국인 과학자들이 발표한 생명과학관련 우수 논문(IF 10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으로 선정되어 유권열 교수와 한승우 학생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소개되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본연구와 교육부의 4단계 BK21 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자료 제공 : 서울시립대학교

< 이 기사는 대학이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