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만9,200톤 규모 증설로 총 10만 3,200톤 생산 능력 보유
- 생산량 확대 통해 규모의 경제 실현...시장 지배력 강화할 것
- 생산량 확대 통해 규모의 경제 실현...시장 지배력 강화할 것
코오롱인더스트리(대표이사 사장 장희구)가 베트남 빈증성에 타이어코드 생산 공장 증설을 완료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베트남 빈증성(Binh Duong)에 연산 1만 9,200톤 규모의 폴리에스터(Polyester, 이하 PET) 타이어코드 생산공장 증설을 지난달 완료했다. 2018년 연산 1만6,800톤 규모 베트남 PET 타이어코드 공장 준공 이후 베트남에 두 번째 추진한 투자다. 이번 증설을 통해 기존 생산량 8만 4,000톤에서 1만 9,200톤이 늘어나 총 10만 3,200톤의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이는 글로벌 타이어코드 시장의 15%에 해당하는 규모다. 증설을 하며 전 공정에 최신 생산설비를 도입해 원사 생산부터 제직, 가공, 열처리, 완제품까지 일관 생산체계를 갖춰 생산 능력과 더불어 효율성 향상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타이어코드는 고강도섬유가 직물 형태로 타이어 속에 들어가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는 섬유보강재로 자동차의 안전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소재다. 원료에 따라 PET, 나일론(Nylon), 레이온(Rayon), 금속소재(Steel) 타이어코드로 나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승용차 타이어에 주로 사용되는 PET 타이어코드를 생산하고 있다.
베트남 빈증성 바우방 산업단지(Bau Bang Industrial Park)에 입주한 코오롱인더스트리 타이어코드 공장은 인근에 여러 타이어 업체 공장이 있어 제품 공급에 매우 유리한 위치다. 아울러 베트남은 다수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글로벌 제품을 수출하는 경우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장점이 많은 곳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베트남 공장은 현재 글로벌 타이어 제조사들로부터 품질 승인이 마무리되어 100% 가동 중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타이어코드 증설은 전세계 타이어 시장 성장과 궤를 함께한다. 타이어 시장은 지난해 교체용(RE) 타이어 수요의 확대와 함께 올해 신차용(OE) 타이어 출고도 함께 늘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동차 시장조사 전문기관에 따르면, 타이어 시장은 올해부터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 중이며 이후 연평균 4%대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타이어코드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는 높은 출력의 저소음이 특징인 반면 약 400Kg 달하는 배터리가 장착된다. 전기차용 타이어는 높은 하중에 대한 지지력과 낮은 회전저항, 저소음, 내마모성 등 뛰어난 성능이 요구됨에 따라 기존 타이어 대비 타이어코드를 10~20% 더 사용하고 있다. 전세계 전기차 시장조사기관 EV볼륨즈(EV Volumes)가 올해 초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약 650만 대로 2020년 310만 대 대비 108% 증가했으며 올해에는 1,000만대 이상 판매될 것으로 예측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1973년 타이어코드 사업을 시작한 이래 미쉐린, 브릿지스톤, 한국타이어 등 글로벌 메이저 타이어 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사업 경쟁력을 키워왔다. 2004년 중국 난징(南京) 공장을 신설해 중국 시장의 전초기지를 구축한 데 이어 베트남 1, 2차 투자를 통해 최고의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생산기지를 확보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강구해 나갈 예정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베트남 외에도 중국, 인도네시아, 멕시코에 에어백과 필름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총 7개의 해외 사업장을 다양하게 구축해 왔다. 타이어코드 해외공장으로는 2004년에 완공한 중국 난징 공장도 있다. 이번 베트남 공장 증설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되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이번 증설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고성능, 고부가가치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또한 지속 확대하여 타이어코드 사업의 수익성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기업에서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코오롱인더스트리 베트남 타이어코드 공장 전경

▲ 코오롱인더스트리 베트남 타이어코드 공장 개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