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일뱅크가 블루수소 생산부터, 이동형 수소 충전소까지 수소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현대자동차, 현대글로비스, 현대로템과 함께 지난 10월부터 광진구 현대오일뱅크 직영 중곡LPG 충전소 부지를 활용하여 이동형 수소 충전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동형 수소 충전소는 현대차가 기획∙투자∙설계 총괄, 현대글로비스는 수소 공급 및 운영, 현대로템은 수소 충전 차량 제작 및 관리, 현대오일뱅크는 충전소 부지 제공을 담당한다.
이로써 현대오일뱅크는 국내 정유사 최초로 서울시에 이동형 수소 충전소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번에 설치된 이동형 수소충전소는 ‘H 광진 무빙 스테이션’으로, 현대자동차의 25톤 대형트럭인 ‘엑시언트’에 수소압축기, 저장용기, 냉각기, 충전기 등 핵심 설비가 모두 탑재돼 하나의 완벽한 수소 충전소 역할을 수행한다. ‘H 광진 무빙 스테이션’은 총 2대가 교대로 운영되며, 2대 교대 운영 기준 하루 최대 50대의 수소 차량 충전이 가능하다.
이동형 수소 충전소는 기존의 수소 충전소 대비 충전 시설 구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수소 충전소에는 시설을 위한 일정규모의 공간과 시설 구축이 필요하지만, 이동형 수소 충전소는 특수 제작된 차량을 통해 직접 충전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부지로도 수소 충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이번 이동형 수소 충전소 부지 제공을 통해, 기존 전국 11곳에서 운영중인 고정형 수소 충전소에 이어서 이동형 수소 충전소까지 확보해 수소 생산부터, 활용, 판매에 이르는 수소밸류체인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이동형 수소 충전소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새로운 개념의 수소 충전소인 만큼 기대가 크다”라며, “이동형 수소 충전소 사업은 상대적으로 수소 인프라가 취약한 서울 도심 강북권 수소차 이용 시민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오일뱅크는 현재 연간 약 20만톤의 수소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회수, 활용하는 기술을 상용화해 블루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한 블루수소는 전국 수소 충전소에 판매되고, 수소 연료전지 발전사업의 연료로도 공급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현대오일뱅크는 대산공장에서 생산한 블루수소를 투입하여 발전용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 있는 친환경 발전소 건설도 계획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지난해 6월 발전 자회사 현대E&F를 설립하고, LNG와 블루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 이 기사는 기업이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정보성 기사로, 한겨레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현대오일뱅크 이동형 수소 충전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