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기대 인공지능응용학과 서경원 교수.서울과기대 제공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동훈, 이하 서울과기대) 인공지능응용학과 서경원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6월 30일(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 지원하는 ‘정보통신·방송기술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최종 수주하였다.
□ 서 교수는 인공지능응용학과 박종열 교수, ㈜튜터러스랩스 임준호 CTO(최고 기술 책임자)와 함께 글로벌 인공지능 원천기술 강국인 미국 Microsoft, University at Buffalo(정보공학 세계 38위), 캐나다 UBC(컴퓨터과학 세계 23위)와 국제공동연구팀을 구성하여, ‘미래교실 속 증강된 교사의 역량 맞춤형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AI) 분석-생성-코칭 코파일럿 기술 개발’을 향후 3년간 수행한다.
□ ‘인공지능 코파일럿 기술’이란 미래교실 속 현장교사들이 수업을 진행할 때 ①학생의 학습역량을 파악하고, ②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실시간 생성하고, ③대화형 AI 기반 지능형 코칭을 통해 학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인간중심 인공지능 기술을 의미한다. ‘인공지능 코파일럿 기술’ 개발을 통해 학력격차와 교육 불평등 문제 해결 및 현장교사 중심의 공교육 강화가 국제공동연구팀의 목표이다.
□ 국제공동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기술사업화 함으로써, 2025년까지 약 485조원 규모로 성장 전망되는 글로벌 인공지능 에듀테크 시장을 초격차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고부가가치화가 기대된다.
□ 나아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원장 백미원)과 협력해 국제공동연구 성과를 서울시 교육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미래교실 속 현장교사가 학생과의 인간적 연결에 집중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개인 맞춤형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서경원 교수는 “인공지능 기술이 현장교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사의 능력을 증강시켜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상보적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이 이번 국제공동연구의 핵심이다”라고 말했다.
□ 이어 “서울과기대 학생들이 인공지능 원천기술 강국인 캐나다 UBC, 미국 University at Buffalo 연구실에서 국제공동연구를 직접 수행하며 글로벌 연구개발 역량을 체득하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덧붙였다.
* 자료 제공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이 기사는 대학이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