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동훈, 이하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이 지난 5월 30~31일,6월 28일 총 2회에 걸쳐 ‘글로벌 킥오프 데이’ 행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 서울과기대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총괄하고 창업진흥원이 전담하는 ‘2023년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후, 이번 킥오프 데이 행사를 통해 협업 프로그램의 첫 시작을 알렸다.
□ ‘2023년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은 높은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갖춘 창업 7년 이내 기업의 성장을 돕고 해외 진출 및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사업화 자금(최대 3억 원)과 글로벌 시장 진입 기회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은 사업 선정을 통해, 향후 약 50개사 내외의 창업기업을 발굴해 총 66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정글 프로그램 ▲미라클 프로그램 ▲퀀포스 프로그램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 또한, 글로벌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 및 세미나, 컨설팅, 마케팅, 판로 개척, 서비스 지원 등의 스케일업 프로그램과 더불어 해외 진출, 투자 유치, 기술사업화 등 글로벌 시장 진입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게 된다.
□ ‘글로벌 킥오프 데이’ 행사는 앞으로 진행될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의 다양한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주요 일정을 소개하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선정기업 45개사의 회사 소개 및 기업 간의 네트워킹 세션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창업기업 간의 협력과 공감대 형성의 장을 마련하였다.
□ 이번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선정된 45개사는 HCLS(Health Care&Life Science), AI(인공지능) 및 ML(머신 러닝) 분야의 클라우드 기반 기업들로, 서울과기대와 글로벌 기업의 맞춤형 지원 아래 향후 성공적인 해외 진출 발판을 마련하고 함께 성장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과기대는 제12대 이동훈 총장 취임 이후, 대학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창업지원 인프라(약 2,700㎡: 3개동 내 14개 실습·강의실 및 41개 장비 보유)를 확충하여 약 1,440평에 이르는 창업타운을 조성 완료하는 등 구성원의 창업 과정 전반에 대하여 실질적이고 꾸준한 도움을 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 김종선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장은 “이번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기술 창업 메카를 선도하는 글로벌 중심 창업 최적화 대학의 역할을 수행하고 글로벌 혁신 창업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정경희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부단장은 “그동안 쌓아온 창업지원 역량을 활용하여 K-글로벌 유니콘 선도기업 배출전략으로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힘찬 포부를 밝혔다.
□ 한편,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은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외에도 ▲메이커스페이스 구축·운영 사업(전문랩) ▲예비창업패키지 ▲초기창업패키지 등의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 △창업교육센터 △창업사업화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창업메이커지원센터 △LINC3.0 사업 등 창업 전담 조직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 기업의 성장단계별 창업지원이 가능하며, 제조부터 지식서비스, 클라우드, AI 등 다양한 분야의 (예비)창업기업의 발굴, 육성, 투자까지 담당하는 전주기적 창업지원체계를 갖추고 있다.
* 자료 제공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이 기사는 대학이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