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항공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저비용항공사(LCC) 6곳이 정부에 조건 없는 긴급 금융지원을 요청했다.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저비용항공사 6곳 사장단은 28일 공동 건의문을 내고 “지금 저비용 항공사들은 지난해 일본 불매운동에 이어 코로나19 사태로 절체절명의 벼랑 끝에 서 있다”며 “어떠한 자구책도 소용없고 퇴로도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들은 “항공산업은 일반 산업과 달리 이윤추구에 앞서 국민의 편의와 공공성을 우선하는 국가 기간산업”이라며 “현시점에서 항공산업의 붕괴는 크나큰 국가적 손실”이라고 밝혔다.
저비용항공사 사장단은 정부에 무담보·장기 저리 조건으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사장단은 “부채비율이 높은 항공사의 구조상 누적된 적자가 반영된 현시점에서 시중은행 상품을 통한 자금조달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즉각적인 유동성 개선을 위한 자금조달이 가능하도록 지원 조건 대폭 완화 및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공항사용료와 세금을 전면 감면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현재 정부가 제시한 공항사용료 등 각종 비용지원은 감면이 아닌 납부유예로 실질적 지원이 아니”라며 “추가로 항공기 재산세, 항공유 수입 관세 등 각종 세금을 감면해달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7일 정부는 저비용항공사에 최대 3000억원 긴급융자와 3개월의 공항시설 사용료 납부유예 등을 골자로 한 지원책을 내놓은 바 있다.
아울러 운항 노선 축소로 휴직 인원 발생이 불가피하므로 항공사 근로자의 휴업수당에 지원되는 고용유지지원금 비율을 한시적으로 현행 1/2에서 2/3로 인상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항공사들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선 운휴, 자산 매각, 비용 절감 등의 자구노력을 하고 있고 임금 반납, 유급·무급 휴직 등 고통 분담에 동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