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2.4% 올라 석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해 지난 4월부터 2% 상승률을 이어갔다. 농축산물 가격이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갔고, 석유류와 개인서비스 등도 오름세가 계속됐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4% 상승했다. 2분기(4∼6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5% 올랐다. 이는 2012년 1분기(3.0%)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10.4% 상승했다. 채소류(5.6%)를 포함한 농산물 가격이 14.1% 오르면서 전체 물가에 0.57%포인트 기여했다. 고춧가루(35.0%), 쌀(13.7%), 마늘(48.7%), 참외(14.1%), 파(11.3%) 등은 올랐으나 배추(-19.8%), 양파(-15.2%), 생강(-26.9%), 감자(-11.1%) 등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월보다 농산물 가격이 4.8% 하락했다. 달걀(54.9%), 돼지고기(6.2%), 국산쇠고기(7.1%) 등 축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9.5% 상승했다. 달걀은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무관세 수입량을 늘리는데도 계속해서 큰 오름세를 보인다. 수산물은 0.5% 상승하는 데 그쳤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계란값 상승에 대해 “산란계 마릿수가 전년 동월 대비 7.9% 감소했다”면서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여파가 줄어들고 있지만, 산란계가 평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업제품 가격은 2.7% 올랐다. 국제유가 가격 상승세가 지속하면서 휘발유(19.8%), 경유(22.4%), 자동차용 액화천연가스(LPG·17.2%) 등 석유류가 19.9% 올랐다. 빵(5.9%) 등 가공식품 물가도 1.4% 상승했다. 도시가스료(-10.3%), 전기료(-2.1%), 지역난방비(-2.6%) 등은 하락해 전기·수도·가스 가격은 4.8% 하락했다.
서비스 물가는 1.6% 올랐다. 고등학교납입금(-100%) 등 정부의 무상 교육 정책으로 공공서비스는 0.6% 내려갔지만 개인서비스는 2.5% 올랐다. 구내식당식사비(4.4%), 생선회(5.5%) 등이 오르면서 외식 물가는 2.3% 상승했다. 2019년 3월(2.3%)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공동주택관리비(6.9%), 보험서비스료(9.6%) 등 외식 외 물가는 2.7% 올랐다.
집세는 1.4% 상승해 2017년 11월(1.4%)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전세는 2018년 3월(1.9%) 이후 최대 상승 폭인 1.9% 올랐다. 월세는 0.8% 상승하며 지난해 6월부터 13개월째 상승 중이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5% 상승해 3월(1.0%), 4월(1.4%), 5월(1.5%)에 이어 넉 달 연속 1%대 상승률을 보였다.
어운선 심의관은 “개인서비스와 농축수산물, 석유류 가격 상승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며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소비심리가 빠르게 개선돼 개인서비스 가격은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지만 농축수산물 가격은 다소 둔화하고 국제유가도 오름세가 더 확대되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 “하반기에는 물가 상승률이 2분기보다는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