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서 투자’ 열풍이 올해 연초에도 이어졌다. 1~3월 가계는 여윳돈에 빚까지 합쳐 49조원을 주식에 쏟아부었다. 이로 인해 가계 금융자산 내 주식 비중이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8일 한국은행의 ‘2021년 1분기 자금순환(잠정)’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굴린 자금은 총 96조1천억원이다. 월급 등 가계 스스로 가진 돈과 빚을 낸 대출금을 합친 규모다. 1분기 가계가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한 돈(자금 조달)은 52조1천억원으로 전년(15조2천억원)에 비해 36조9천억원 크게 증가했다. 장기 예금 취급기관 대출금이 전년 10조5천억원에서 38조원으로 늘었다. 카드사 및 증권사 등 단기 기타 금융중개기관 대출금 규모도 올해 1분기 기준 8조4천억원이다.
반면 가계의 여윳돈은 줄었다. 전체 운용 자금에서 대출을 뺀 순운용 규모는 44조원으로 1년 전(65조9천억원)과 비교해 21조9천억원 적었다. 연초 코로나19가 주춤하면서 소비가 살아나자 가계최종소비지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 한은의 자금순환 통계에는 개인간 거래가 아닌 건설사 및 정부로부터 분양 등을 받은 주택 투자가 집계되는데, 여윳돈에서 관련 자금이 빠져나간 지출도 지난해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 관계자는 “타 경제 부문으로부터 개인이 순매입(매입-매도)하는 전국 주택매매거래 개인순취득이 지난해 1분기 -1.1만호였는데, 올해 1분기 0.7만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가계는 대출금과 여윳돈을 합한 자금으로 무엇을 했을까. 예금보다 투자를 선택했다. 예금취급기관의 결제성·저축성 예금은 올해 1분기 28조9천억원으로 전년 41조3천억원에 비해 크게 줄었다. 반면 가계는 총 49조원의 주식(국내 주식 36조5천억원, 해외 주식 12조5천억원)을 취득했다. 2009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치다.
이에 올해 1분기 기준 가계 금융자산 내 주식 비중은 20.3%로 집계됐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 금융자산에서 주식 비중이 20%를 넘은 건 처음이다”고 말했다.
기업(비금융법인)은 가계와 반대로 1분기 자금 조달이 감소했다. 지난해 60조8천억원에서 올해 57조5천억원이다. 수출 호조 등에 따른 영업 이익 개선으로 순조달 규모가 축소됐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