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리 프랑켈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현재 모든 자산이 급등하는 거품 현상이 붕괴하면서 경제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프랑켈 교수는 7일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원(KDI)이 공동으로 개최한 ‘주요 20개국(G20) 글로벌 금융안정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클린턴 행정부 시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을 지낸 그는 “2021년까지 세계경제는 확장적 재정·통화 정책에 힘입어 선전했다”면서도 “향후 하방 위험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주식·채권 등 다양한 자산의 가격이 모두 폭등하는 ‘에브리싱 버블(everything bubble)’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터질 가능성이 있다”며 “코로나19 백신 공급 역시 저조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가장 취약한 고리로 신흥국가를 꼽았다. 그는 “신흥국은 2008∼2009년 금융위기에도 성장했고, 이어 2013년까지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이후엔 더뎌졌다”며 “세계 교역량 증가세 둔화, 상품 가격 하락, 중국의 성장세 약화 등의 영향이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로 늘어난 부채까지 더해져, 금리 인상시 이들 나라에 큰 타격을 준다는 설명이다. 프랑켈 교수는 “미국 등 선진국은 (부채 문제를) 쉽게 극복할 수 있지만 신흥시장은 상황이 다르다”며 “신흥국의 국가부채는 작년에 급증했는데, 금리가 인상되면 신흥시장의 금융 안정성이 금방 붕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1982년의 사례를 보면 미 연방방준비제도(Fed)에서 촉발된 긴축이 신흥국에 위기로 전이되고, 이후에 페소 위기, 위환위기, 긴축발작 등이 있었다”며 “미 연방준비제도로부터 비롯되는 신흥국 부채 위기가 다시 돌아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한국을 포함한 주요 20개국(G20)의 협력을 강조했다. 프랑켈 교수는 “단순히 재정·통화정책의 협력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신흥국의 재정위기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등 선진국에 남아도는 백신을 개도국, 저소득국에 나눠주려는 본격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며 “미·중 갈등으로 인한 무역 장벽 해소 등 세계 무역의 회복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코로나바이러스가 남아 있는 한 누구에게나 위험이 될 수 있다. 이것이 글로벌 상호의존성”이라며 “이것을 해결하는 게 주요 20개국의 역할”이라고 했다.
아울러 한국의 재정과 관련해선 “미국과 거의 비슷하게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어, 이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며 “당분간 한국 정부가 확장적 재정정책을 실행하는 것은 적합하다”고 밝혔다. 다만, “미 연방준비제도의 긴축적 통화정책 신호에 따라 금리 상승 가능성이 있어, 한국 역시 재정·통화정책 기조를 정상화시켜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