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 대형마트 농산물 판매대. 연합뉴스.
26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물가는 1년 전보다 2.6% 올라 5개월째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올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0.6%)은 0%대였지만, 4월(2.3%)부터 2%대로 올라섰다. 정부는 하반기부터는 지난해 상반기 국제유가 폭락 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완화돼 물가가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빗나갔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8월 7.8% 올라 상반기 보다는 둔화했지만 여전히 높고, 외식물가(2.8%)나 외식외 물가(2.7%)도 상승에 힘을 보탰다. 최근에는 서울우유협동조합이 10월부터 우윳값을 올린다고 밝힌 가운데 다른 업체들도 인상에 동참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동안 묶여있던 공공요금도 오를 가능성이 있다. 전기요금은 다음 달부터 킬로와트시(㎾h)당 3원 오르는 것으로 이미 확정됐다. 오는 11월에는 가스요금도 인상될 수 있는데다 기차, 시내버스 등 교통요금과 상하수도요금, 종량제봉투요금 등 지방 공공요금도 인상 요인이 상당한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미 도시가스요금 인상 필요성을 기획재정부에 전달했고, 기재부는 이를 반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주택용 도시가스요금을 11.2%, 일반용요금을 12.7% 낮춘 이후 15개월째 동결해왔다. 또 철도공사는 정부의 2021~2025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 “철도운임에 대한 현실화 검토가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코로나19로 승차 인원이 줄어 올해 1조원이 넘는 적자가 예상되는 등 부채가 늘어가는 상황이다. 도로공사도 고속도로 통행료 인상을 정부에 건의하겠다는 입장이다. 고속도로 공공성 강화 정책으로 통행료는 연간 4조원 수준에서 정체된데 반해 감면 통행료는 계속 늘어가고 있어 이를 해결하려면 통행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어서다. 고속도로 통행료는 2015년 4.7% 인상한 이후 6년째 제자리다.

정부는 6월 발표한 ‘2021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물가상승률 목표를 1.8%로 제시했다. 당시 상반기 물가 오름세가 기저효과와 일시적 공급 충격에 따른 것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해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7∼8월 물가상승률이 나란히 2.6%로 연중 최고치를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요금 인상과 기저효과 등을 고려하면 4분기에도 물가상승률이 둔화될 것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8%에서 2.1%로 올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최근 발표한 ‘중간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8%에서 2.2%로 상향조정했다. 연간 물가상승률이 2%대를 보인 것은 9년 전인 2012년(2.2%)이 마지막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작년 4분기 물가지수가 105대(2015년 100기준)였기에 올해 4분기 상승률도 2%대가 될 가능성이 크고, 연간으로 2%를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물가 상승은 취약계층에 더욱 부담이 될 수 있어, 이들에 대한 지원 강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