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훈 기획재정부 차관보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상생소비지원금 브리핑’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인대 기재부 상생소비지원추진 단장, 한훈 기재부 차관보, 김종훈 금융위 중소금융과장. 기획재정부 제공.
10월부터 시행되는 이른바 ‘카드 캐시백’인 상생소비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실적 대상에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물론 대기업 프랜차이즈 등도 포함하기로 했다. 골목상권 등 취약부문의 소비 활성화를 위해 도입하겠다는 당초 취지가 희석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27일 ‘상생소비지원금 시행 방안’을 발표했다. 상생소비지원금은 10∼11월에 쓴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이 2분기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3% 이상 많을 경우 초과분의 10%를 1인당 월 10만원까지 카드 포인트로 환급해주는 제도다. 이를 위해 기재부는 2차 추경으로 1조1천억원을 마련했지만, 국회 심의 과정에서 7천억원으로 깎였다.
카드 실적은 네거티브 방식으로 제외 업종이 아닌 곳에서 쓴 금액은 모두 인정된다. 대형마트, 백화점, 복합 쇼핑몰, 대형 전자판매점, 대형종합 온라인몰, 홈쇼핑, 명품전문매장, 유흥업종, 사행업종, 실외골프장 등에서 쓴 금액은 제외된다. 신차 구입비와 세금, 보험료, 카드 연회비 등 비소비성 지출과 해외 카드 사용 금액도 빠진다.
대신 롯데슈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 기업형 슈퍼마켓이나 스타벅스를 비롯한 대기업 프랜차이즈에서 쓰는 금액은 인정된다. 대형 병원·서점·학원과 영화관, 배달앱, 전문온라인몰 등에서 사용한 금액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애초 취지와는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6월 상생소비지원금과 관련해 “백화점, 대형마트 등 카드 사용실적은 제외함으로써 소상공인 등을 중심으로 한 소비 유도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골목상권과 상충한 업종이 다수 포함돼 취약부문에서 적극적인 소비가 이뤄나기는 힘들어 보인다. 홍 부총리도 지난 16일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고강도 방역으로 음식·숙박 등 대면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어려움이 더 누적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너무 업종을 제한하게 되면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떨어질 수 있고 편의성도 떨어질 수 있는 부분을 고려해 (업종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지원금은 19살 이상 성인으로 올 2분기 본인 명의 카드 실적이 있는 누구나 신청해 받을 수 있다. 롯데·비씨·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케이비(KB)국민·엔에이치(NH)농협 등 9개 카드사가 자사 고객의 신청 자격을 점검하고 신청 방법도 안내할 예정이다. 정부는 상생소비지원금 대표번호(1688-0588·1670-0577)를 운영해 안내한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