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개발로 수천억원의 수익을 챙긴 화천대유 사건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전국 부동산 개발업자가 2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이 분석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말 2만9914개였던 전국 부동산 개발업 등록 사업자는 2020년 말 6만3066개로 불었다. 부동산 호황을 타고 부동산 개발업이 5년 만에 2.11배로 늘어난 것이다.
시도별로는 세종이 가장 많이 늘었다. 2015년 326개에서 2016년 419개, 2017년 463개, 2018년 510개, 2019년 657개, 2020년 840개로 5년 만에 2.58배 늘었다. 지난해 행정수도 이전 논의로 아파트 값이 44.9%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보이는 등 부동산 급등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 셈이다. 다음으로는 전남이 2015년 539개에서 2020년에는 1322개로 2.45배, 경기가 2015년 8638개에서 2020년 2만950개로 2.43배 늘었다. 같은 기간 광주(940개→2288개), 대전(701개→1692개), 부산(1904개→4129개), 충북(791개→1682개), 인천(1594개→3339개), 충남(1114개→2319개), 울산(526개→1089개), 대구(1599개→3221개), 제주(586개→1178개) 등 에서도 2배 넘게 늘었다. 반면 서울은 6255개에서 1만954개로 1.75배 늘어 평균보다는 낮았다.
양경숙 의원은 “부동산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부동산 개발업이 5년 새 2배 넘게 늘었다”며 “향후 부동산 개발에 따른 부당이득, 탈세 등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과세당국이 철저히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