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운항선박 성능 실증센터’ 조감도. 울산시 제공
민수용 자율운항선박이 올해 말까지 건조돼 내년부터 실증 과정을 거친 뒤 2026년께 상용화될 전망이다. 내년 하반기엔 국내 첫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전기 추진 스마트선박도 건조돼 실증 절차에 들어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울산시와 함께 친환경·스마트 선박 실증기반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그 일환으로 이날 울산 동구 일산동에서 울산시장, 산업부·해양수산부·유관기관 관계자 50명 남짓이 참석한 가운데 ‘자율운항선박 성능 실증센터’ 기공식을 열었다. 센터는 일산동 면적 9128㎡ 터에 지하 1층·지상 3층, 건축 연면적 1278㎡ 크기로 짓는다.
사업 완료 시점은 2025년으로 잡혀 있으며 총사업비는 국비 1196억6400만원 포함 1603억2천만원에 이른다. 산업부와 해수부 공동 추진으로 자율운항선박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실증을 통해 조기 상용화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 사업은 지난해부터 시작했으며 실증을 위한 ‘테스트 베드’(시험장)가 필요해 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올해 12월께 실증할 수 있는 시험선 건조를 완료하고 내년부터 실증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26년부터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배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레벨 3’ 수준의 자율운항선박이 상용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실증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트랙 레코드’(운항 기록), 즉 데이터 확보”라고 말했다.
자율운항선박은 해상운송의 획기적인 변곡점을 이룬다는 점에서 ‘바다 위의 테슬라’로 일컬어지곤 한다. 현재 국내 민수용 선박의 자율운항 수준을 자동차에 견주면 주행보조 장치를 단 정도이며, 무인 상태로 운항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좌표를 찍어 항로를 결정해놓으면 지피에스(GPS)를 활용해 비행기처럼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는 식이다.
2026년 상용화 예정인 자율운항선박은 여기서 한발 나아가 무인 상태로 운항하게 된다. 다만, 이 또한 완전한 의미의 자율운항선박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산업부 관계자는 밝혔다. 육상에서 이뤄지는 일정한 제어 작업은 여전히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산업부는 “센터가 완공되면 기자재·장비, 자율항해시스템, 자동기관시스템에 대한 운항·선박 성능 데이터를 해운사, 조선소, 조선 기자재 업체에 제공해 국내 조선산업의 신성장 동력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울산시와 함께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 ‘ICT 융합 전기 추진 스마트 선박’ 착공식도 아울러 열었다. 총 사업비 450억원(국비 235억원)을 들여 국내 첫 ‘직류기반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 실증 선박’을 내년 하반기에 건조 완료하는 사업이다. 전기 추진 시스템·통합제어의 체계적인 실증을 통해 상용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고 있다. 건조되는 스마트 선박은 길이 89.2m, 폭 12.8m에 2800톤급 4개 층 규모로 300명 넘게 태울 수 있으며 내년부터 울산 앞바다에서 운항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존 ‘고래 관광선’이 노후화돼 전환해야 할 상황에서 친환경 기자재로 전기 추진의 스마트 선박을 만들어보자고 울산시와 뜻을 모아 현대미포조선에 발주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 선박은 전기 추진 방식이어서 친환경적이며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최신 제어시스템으로 상당 부분 운항의 자동화를 이루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