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 기업들의 화물을 싣고 부산항을 떠나고 있는 선박. HMM 제공
우리나라 연간 수출액이 13일 사상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은 이날 오전 11시36분 기준으로 올해 연간 수출액이 6049억달러에 이르러 기존 최대 실적인 2018년의 연간 실적(6049억달러)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올해 연간으로는 64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산업부는 전망하고 있다.
한국 수출은 1964년 1억달러를 처음으로 넘긴 뒤 1977년 100억달러, 1995년 1천억달러, 2018년 6천억달러를 각각 넘어선 바 있다.
올해는 한해 마무리를 18일 남겨둔 상황에서 연간 수출액 최고 기록을 달성하며 무역통계를 작성한 1956년 이래 66년의 무역 발자취에 새로운 한 획을 그었다고 산업부는 평가했다.
1~11월 누계 기준으로 올해는 5838억달러에 달해 과거 최대 수출액을 기록한 2018년(5567억달러)보다 271억달러 많다. 산업부는 2018년을 넘어 역대 최대의 수출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주력 수출산업의 주도적 역할, 신수출 품목의 약진,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화”를 꼽았다.
주력산업의 호조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 1위(1~9월 58.9%), 자동차 5대 수출국(1~9월 327억달러) 유지를 들 수 있다. 시스템 반도체, 친환경차,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오엘이디(OLED), 농수산식품, 화장품 등 신수출 유망 품목들이 모두 2018년 실적을 넘어서며 수출의 버팀목 구실을 하고 있다. 고부가 엘엔지(LNG)선 수출의 증가 등에 따른 수출 품목의 고부가가치화도 눈에 띈다. 1~11월 기준 올해 수출 단가는 2018년 대비 12.6% 증가했다.
산업부는 “내년에도 글로벌 교역 및 수요 증가 등 실물경제 회복세가 지속되며 수출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 변이 확산, 공급망 불안정성, 중국 성장 둔화 가능성 등 하방 요인이 상존한다”고 밝혔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올해의 수출 성장 모멘텀을 이어나가 내년 수출도 증가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수출입 현장 애로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