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 가계 및 자영업자의 신용위험 확대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4일 ‘2022년 범금융 신년인사회’ 자료를 통해 “철저한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라며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차주의 채무 상환 능력은 개선되겠으나, 금융완화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와 업황 부진에 직면해 있는 일부 가계 및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대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이러한 내부 취약 요인은 금융시스템의 약한 고리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더욱 예의주시하면서 잠재적 위험에 대비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범금융 신년인사회는 코로나19로 현장 일정이 취소됐다. 그 대신 주요 기관장들은 신년사 자료를 금융인들과 공유하기로 했다.
이 총재는 올해 경제 하방 위험에 대해서는 “먼저 코로나19 변이의 확산은 경제 회복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다”며 “또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와 이에 따른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그리고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 등 대외 리스크 우려도 커지도 있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 부채 누증, 자산 불평등과 같은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한층 심화되었으며, 친환경·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그 방향과 속도를 가늠하기조차 힘든 상황이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는 전후 시기를 BC(Before Corona)와 AD(After Disease)로 비유할 만큼 이로 인한 변화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며, 포스트 팬데믹 시대는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길이 될 것이다”며 “그 여정에서 2022년은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