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논의로 국고채 금리가 불안한 모습이다. 시장 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빚 부담이 커질 수 있다.
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년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일보다 0.013%포인트 오른 연 1.868%에 마감했다. 지난해 12월3일 1.90% 이후 가장 높다. 5년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일보다 0.011%포인트 상승한 연 2.091%를 기록했다. 10년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일 대비 0.005%포인트 하락한 연 2.320%, 30년만기 국고채 금리도 전일보다 0.006%포인트 하락한 연 2.338%를 나타냈다.
국고채 금리가 출렁이는 것은 정치권 추경 논의에 대한 부담 때문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설 전에도 (추경이) 당연히 가능하다”며 “규모는 25조원 내지는 30조원 정도가 실현가능한 목표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정부가 연초에 추경을 편성하려면 재원의 상당 부분을 적자국채 발행으로 조달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될 경우 시장에는 수요 대비 국고채 공급량이 늘면서 채권 가격은 내려가고, 그만큼 금리는 오르게 된다. 국고채 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의 지표가 되는 시장 금리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국고채 금리는 현재 한국은행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상승 압박도 동시에 받고 있는 상황이다.
안재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연초부터 채권 시장이 추경 논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며 “미국 국채 금리 또한 많이 오르고 있는데, 이 부분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