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벨라루스 합동군사 훈련에 참가하는 러시아 군 장병과 병력들이 철도를 이용해 벨라루스에 도착하고 있다. 벨라루스 국방부가 지난 18일 배포한 자료 사진이다. AFP 연합뉴스
정부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충돌 양상에 따른 국내 실물경제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단기적·직접적 파장은 제한적이겠지만, 상호 보복 심화로 공급망 교란을 비롯한 국제 경제 전반에 대한 충격의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박진규 1차관 주재로 ‘산업안보 티에프(TF)’ 회의를 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세 불안에 따른 주요 업종별 수출 영향과 에너지 수급 실태를 점검하고, 반도체·조선·가전 등 업종별 단체, 에너지·자원 공공기관, 대한상의·코트라·산업연구원 등과 관련 동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 사이에선 무력충돌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현 국면이 지속되는 경우 석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됐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무력 충돌로 이어질 경우 서방과 러시아의 상호 보복 제재가 심화되면서 국제교역, 거래 차질과 공급망 교란 등으로 국제 경제 전반에 충격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예상되는 상호 보복 조처로는 미국의 대 러시아 수출 통제, 국제금융 시스템 배제가 거론되고 있다. 러시아는 유럽 지역으로 이어지는 가스공급을 전면 중단하는 방안을 꺼내 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참석자들은 국내 실물경제에 대한 단기적·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의견을 주로 냈다. 교역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다. 2021년 기준 러시아에 대한 한국의 수출 규모는 99억8천만달러(수출 상대 12위국)이다. 우크라이나는 5억8천만달러, 64위 수준이다.
산업부는 “전반적으로는 공급망, 생산 등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의존도가 높지 않으나 현지 진출 기업 또는 수주 기업 등 개별 기업 차원에선 일부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석유 재고·비축 물량 확보로 에너지 수급 영향도 제한적이나, 국제가격 상승으로 인한 국내 기업의 채산성 악화 등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산업부는 무력충돌 발생 때는 박 차관을 본부장으로 업계·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실물경제 안보 대책본부’를 즉각 구성하고, 관계부처와 협력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