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2월 소비자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모든 정책역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4개월 연속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하고 국제유가 상승 등 향후에도 고물가가 예상되면서 물가 안정화 대책 범위를 공공 품목에서 민간 품목까지 확대한다는 뜻이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국제유가가 90달러를 상회하고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있는 등 공급측 요인에 내수 회복 등 수요 견인까지 더해지면서 소비자물가 상방 압력이 가속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특히 가공식품·외식 가격이 분위기에 편승한 가격 담합 등 불법 인상이나 과도한 인상이 없도록 이달 중 공정거래위원회 등 부처 간 점검, 12개 외식가격 공표 등 시장 감시 노력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농축수산물은 최근 가격 상승, 수급 불안 품목을 중심으로 지난 1월 설 성수품에 대한 방출 확대 등 수급 대응처럼 집중적으로 품목별 대응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그는 강조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달 3.6% 오르며 넉 달째 3%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더욱이 석유값 급등 등 에너지 비용 부담을 사업자들이 소매 제품에 본격 반영하면서 근원물가도 3%대에 올라서고, 개인서비스 물가도 상승 폭을 키워 가는 중이다.
홍 부총리는 “우리 경제는 대내외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경기·물가·금융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양상”이라며 “국내 물가 안정과 경제 리스크 관리가 1분기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는 리스크 관리와 관련해서는 “내일(11일) 한국은행 총재 등과 자리를 함께 하는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재정·금융·통화당국 간 상황 인식과 정책 공조를 보다 강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또 “리스크 요인 점검, 정책 공조, 금융 불균형 시정 및 시장 안정, 실물시장 파급 영향, 국채시장을 포함한 채권시장 동향과 외환시장 상황 등에 대한 점검관리는 물론 최근 우크라이나 상황 악화 시 비상대응계획까지 포함해 논의하고자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3월 말 종료 시점인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상환유예 조처의 연장 여부는 다음달 발표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여러 상황을 신속히 종합 점검한 후 다음달 그 방침을 확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규모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난 2년간 300조원(지원 총액 기준)에 이르고, 3차례 연장 조처를 한 바 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