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확산에 따라 내수에 미칠 영향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정부의 내수 우려 진단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8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를 내어 “수출 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용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지만,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 등에 따른 내수 등의 영향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앞서 기재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대면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내수에 대한 우려를 표한 바 있다.
고용은 1월 취업자 수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기저효과와 경제회복 등의 영향으로 113만5천명이 늘어 21년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인 바 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보다 0.6포인트 상승했고, 1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1년 전보다 17.5% 증가했다.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액은 각각 31.5%, 10.3% 늘었다. 하지만 지난 17일 확진자가 10만9831명으로 처음으로 10만명이 넘는 등 급증하는 상황에 대한 내수 위축 우려를 표한 셈이다.
대외 여건과 관련해서는 지난달 ‘불확실성 지속'이란 평가에서 이달 '불확실성 확대'로 경계의 수준을 높였다. 기재부는 “공급망 차질, 인플레이션 확대 등으로 주요국의 통화정책 전환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변이 바이러스 확산,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원자재·금융시장 변동성이 증가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선제적 물가 관리 등 민생 안정에 만전을 기하면서 대내외 리스크에 대한 점검·관리를 강화하고, 코로나 확산 대응 및 피해 최소화, 경기 회복 뒷받침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