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대출’ 제안 등 은행 관련 보이스 피싱으로 의심되는 문자나 전화가 왔을 때 해당 번호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시행된다.
은행연합회(회장 김광수)는 31일부터 보이스 피싱으로 의심되는 은행 관련 문자나 전화가 왔을 때 이 번호가 실제 은행에서 사용하는 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은행 전화번호 진위확인 서비스’를 연합회 공식 누리집을 통해 제공한다고 30일 밝혔다. 최근 가짜 저금리 대출 상품, 생계 자금 지원을 해주겠다며 은행을 사칭한 대출 빙자형 보이스 피싱이 급증하는 상황을 고려한 서비스다. 피시나 모바일로 은행연합회 공식 누리집 (
https://www.kfb.or.kr )에 접속한 뒤 오른쪽 밑에 ‘ 자주 찾는 메뉴 ’ 에서 ‘ 은행전화번호 진위확인 ’을 선택하면 된다.
특정 번호가 은행 전화번호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싶은 이는 누구나 별도의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연합회 누리집에서 은행을 선택하고 전화번호 입력하면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은행연합회와 회원사인 19개 은행(산업, NH농협, 신한, 우리, 한국스탠다드차타드, 하나, 기업, KB국민, 한국씨티, 수협, 대구, 부산, 광주, 제주, 전북, 경남,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이 함께 제공한다.
다만 은행연합회는 소비자가 특정 번호를 조회해 본 결과 해당 번호가 은행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전화번호로 확인됐다고 하더라도 예상하지 못한 피해를 막으려면 경찰청 ‘시티즌 코난’ 등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폰이 악성 애플리케이션에 감염됐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은행에 관련 내용을 문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