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장기업 10곳 중 4곳의 직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기업 총 직원 수는 전년보다 소폭 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18∼2021년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1874곳(금융업 제외)의 직원 규모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기준으로 808곳(43.1%)의 직원 수가 전년보다 줄어들었다고 17일 밝혔다.
연도별 직원 감소 상장사 비중을 보면, 지난해 43.1%는 코로나19 대유행 첫 해인 2020년의 52.0%(974곳)보다는 8.9%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의 44.3%(830곳)와 비교해도 1.2%포인트 낮다.
하지만 전체 상장사 직원 수를 보면, 여전히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지난해 상장사 직원 수는 148만3천명으로 2020년의 146만9천명보다는 1만4천명 늘었지만, 2019년의 149만7천명보다는 1만4천명 적었다.
상장사 10곳 중 3곳(26.7%·500곳)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2년 연속(2020∼2021년)으로 직원 수가 줄었다. 특히 지난해 상장기업 10곳 중 1곳(11.2%·210곳)은 직원 수뿐 아니라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감소했다. 이 비중은 코스닥 상장사(12.1%·143곳)가 코스피 상장사(9.6%·67곳)보다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지난해 직원 감소 상장사 규모가 2020년에 비해 줄어든 것은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수요 분출에 따른 기저효과와 비대면 업종 호황 등으로 실적이 개선된 영향”이라며 “본격적인 고용시장의 훈풍으로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