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국민을 상대로 위험 감수성과 성취 욕구 등을 조사해 점수화한 ‘기업가정신’ 수준이 3년 새에 눈에 띄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상대 조사에서는 상승 폭이 더 두드러졌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일반 국민과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여 19일 발표한 ‘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개인의 종합적인 기업가정신 수준은 100점 만점에 56.4점으로 나타났다. 2019년 조사 때의 49.1점에 견줘 7.3점 높아졌다. 기업의 종합적인 기업가정신 수준은 같은 기간 29.6점에서 47.7점으로 18.1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가정신 실태조사는 국가승인통계(승인번호 427001)로 개인(1만명 이상)과 기업(3천개 이상)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지향성, 기업가적 역량, 태도 및 인식 등을 측정해 나타낸 국내 유일의 기업가정신 관련 조사다. 2015년 시작돼 해마다 실시되다가 2019년부터는 3년 단위로 이뤄지고 있다. 이번 조사는 만 13~69살 1만1958명의 개인과 기업 3120곳을 대상으로 8~10월 석 달에 걸쳐 한국평가데이터를 통해 실시했다. 조사 결과는 기업가정신 연구와 교육 및 정책 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개인의 기업가정신 수준을 항목별로 보면, 기업가적 지향성 57.7점(9.2점↑), 기업가적 역량 57.4점(8.4점↑), 기업가적 태도 54.2점(4.5점↑)으로 나타나 모든 항목에서 상승했다. 기업가적 지향성은 혁신성·위험 감수성·시장 선도성·자율성·경쟁 추구성·성취 욕구 등을 말한다. 기업가적 역량 항목에선 인지·대인관계·사업화 역량을, 기업가적 태도에선 창업활동에 대한 태도와 의지를 측정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성별로는 남성(58.2점)이 여성(54.6점)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59.8점)와 30대(59.1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40대 56.6점, 50대 55.4점, 10대 54.1점, 60대 52.5점 순이었다. 올해 조사에서 추가된 ‘기업에 대한 인식’ 항목의 조사에서는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64.0점)이 반기업정서(57.6점)보다 높았다. 기업군별 긍정적인 인식은 스타트업 64.9점, 벤처기업 64.5점, 대기업 63.8점, 일반 중소기업 62.8점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기업가정신 조사에선 최고경영자 리더십 등을 측정한 ‘비전과 전략’ 항목이 58.6점(13.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업가적 지향성 49.3점(18.1점↑), 문화와 구조 47.9점(20.2점↑), 성과 44.0점(18.5점↑), 경영환경 40.5점(3.3점↑), 운영체계 39.0점(20.2점↑)순이었다. 올해 조사에서 추가된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관련성’과 ‘비즈니스모델 혁신’ 항목 조사에선 신기술 관련 기업은 48.7점, 관련 없는 기업은 47.6점으로 조사됐으며, ‘벤처·이노비즈·메인비즈 인증’ 기업(52.1점)이 미인증 기업(47.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번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는 한국청년기업가재단 누리집(www.koe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단은 전국 공공도서관 및 대학도서관에 실태조사 보고서를 책자 형식으로 12월 말까지 배치할 예정이다.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서는 내년 1월20일부터 열람·활용할 수 있다고 중기부는 전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