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여론몰이로 단협 무력화” 반발
고임금 탓에 ‘신이 내린 직장’으로 불리는 7개 국책 금융기관이 정부의 지침대로 임금인상 자제 등의 내용을 담은 ‘경영 혁신 방안’을 일제히 발표했다. 하지만 임금인상 억제, 연봉제 확대 적용, 복지 혜택 축소 등 대다수 내용들이 노사 협의를 전제로 한 것들이어서 실제로 이행될지는 미지수다.
산업은행은 15일 “김창록 총재가 연봉 1억원을 반납하고, 임원들은 올해와 내년 기본급을 동결하는 한편 기본급 10%를 기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직원 임금 인상도 최대한 억제하기로 했다. 기업은행·수출입은행·예금보험공사·주택금융공사도 이날 임원 보수 동결과 기본급 10% 사회 환원, 임직원 임금 인상 억제 방침을 발표했다. 앞서 한국은행과 자산관리공사는 14일 똑같은 내용의 경영 혁신 방안을 내놨다.
이런 움직임은 국책 금융기관들이 지난 9월 감사원 감사에서 방만한 경영과 지나친 고임금을 지적받은 뒤, 재정경제부 주도로 구성된 ‘국책 금융기관 경영개선 협의회’가 마련한 경영 혁신 가이드라인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협의회는 지난달 22일 1차 회의를 열어 임원 임금을 올해와 내년 동결하거나 일부 반납하고, 일반 직원 임금 인상은 올해 2%로 억제하고 내년에는 동결하도록 했다. 또 2010년까지 전 직원 연봉제를 도입하고 과도한 복리후생 혜택도 단계적으로 없애도록 권고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정부가 노조의 단체협약권을 침해한다”며 반발했다. 이승민 금융노조 정책실장은 “감사원과 재경부가 여론몰이를 통해 노조의 교섭권을 무력화시키고 있다”며 “임금 문제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지만, 연봉제 확대나 구조조정 등에 대해서는 강력히 문제제기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