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가구와 비노인가구의 불평등 정도
노인가구가 비노인가구보다 소득·소비 격차 커
소비지출액 수준을 열가지 계층별로 나눠 소득과 소비, 자산 규모 등을 비교한 결과 비노인가구보다 노인가구 사이 불평등이 더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학주 경상대 교수는 ‘사회보장연구’ 22권 4호에 실린 ‘노인가구 대 비노인가구의 소비불평등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7차연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가구주 연령 55살 이상인 노인가구 1679가구와 비노인가구 3039가구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분석 결과 노인가구의 소비 1분위(하위 10% 계층)와 10분위(상위 10% 계층)의 소득은 각각 월평균 43만원과 284만원으로 10분위가 1분위의 6.6배였다. 반면 비노인가구의 소비 1분위와 10분위 소득은 각각 월평균 45만원, 288만원으로 10분위가 1분위의 6.4배로 격차가 적었다.
소비액의 경우 10분위 노인가구(203만원)는 1분위 노인가구(28만원)의 7.4배를 지출했다. 반면 비노인가구는 그 격차가 203만원, 30만원으로 6.7배였다.
금융자산 규모에서도 노인가구간 격차가 더 컸다. 노인가구 중 소비 10분위의 금융자산은 1억571만원으로 1분위 390만원의 27.1배였다. 비노인가구 에선 4276만원으로 1분위 241만원의 17.7배였다.
김 교수는 “가구주 연령이 높아질수록 불평등이 심화되는 것은 근로소득 감소 외에 일생동안 축적한 자산과 부채 수준, 건강 격차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공적·사적 연금의 미성숙과 불충분성도 불평등을 더 심화시킨다”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