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문제 진전 등 반영해 이르면 9월께 조정
미국의 국제 신용평가회사인 무디스가 이르면 9월께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북한 핵 문제의 진전 등에 따른 것이다.
무디스는 3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상향 절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는 신용등급 상향에 필요한 최종 요건 검토 작업에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디스는 그 이유로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성장률 제고 노력 △건전 재정 기조 유지 등 경제 펀더멘털 개선 △북한 핵 관련 2·13 합의 이행 절차 재개 등을 들었다. 무디스는 또 향후 등급 상향 결정의 주요 평가 요소로 △대선 등 정치 일정에도 건전 재정 기조의 유지 여부와 △북한 비핵화 과정의 차질 없는 이행 여부를 꼽았다.
재정경제부는 통상 무디스가 상향 조정 절차에 착수한 뒤 2~3개월 안에 실제 등급이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9~10월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무디스는 2002년 3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3’로 이전보다 2단계 상향 조정했다. 이어 2004년 4월 연례보고서를 통해 신용등급 유지 결정을 내렸으나, 같은해 6월 등급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올렸고 지난해 4월에는 다시 ‘긍정적’으로 높여 잡았다. ‘A3’는 무디스가 매기는 신용등급 가운데 7번째 수준으로,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의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 중 무디스의 등급이 가장 낮다.
재경부는 이른 시일 안에 등급 상향이 이뤄질 수 있도록 무디스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무디스는 2월13~15일 재경부 등과 연례 협의를 가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난달 22일 낸 한국 경제보고서에서 신용등급 상향 가능성을 내비쳤다. 무디스는 이 보고서에서 “지난해 4월 신용등급 전망 상향이 성장률 제고 노력과 건전 재정 기조, 북한 핵 문제 등의 부문에서 지지되고 있다”며 “비핵화의 획기적 돌파구였던 2·13 합의 이행이 방코델타아시아 문제로 지연됐으나 최근 사건 전개를 볼 때 타개가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