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국제표준기구) 26000 주요 이슈
2009년 ISO 26000 적용 앞두고 경제주체 논의 활발
학계 ‘통합모델’ 강조…경영계 “기업활동과 조화 필요”
학계 ‘통합모델’ 강조…경영계 “기업활동과 조화 필요”
경실련 주최 포럼 들어보니
오는 2009년 시행될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 기준’(ISO 26000) 적용을 앞두고 한국 사회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세계 경제에 새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논의는 어느 수준까지, 또 대비는 얼마 만큼 되어 있을까? 5일 경실련 경제정의연구소가 마련한 ‘제1회 CSR포럼’에서 경영계와 노동계, 학계, 시민사회단체 등 인사들이 대거 참여해 기업이 감당해야 할 사회적 책임과 노동계 및 시민사회의 역할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CSR 바람’을 주제로 발표한 김영호 한국CSR표준화포럼 회장은 시민단체와 경제단체 등에서 제각각 제시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모델을 통합해 국제 표준에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모든 단체들이 국제기준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인덱스를 추구하고 자기 모델에 따를 것을 기대하고 있는데, 모델과 인덱스가 많이 나와도 국제표준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무력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 국제표준화기구(ISO) 주도로 한창 진행 중인 국제표준화 작업은 오는 2009년 ‘ISO 26000’ 발간과 동시에 시행될 예정이다.
박오수 서울대 교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아직 자선활동 수준에 머물러 사회적 투자나 전략적 구상 단계까지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황호찬 세종대 경영대학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평가가 전제되지 않으면 실제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평가·인증기관 설립을 주장했다.
그러나 경영계는 기업의 역할과 책임만 과도하게 부각되면서, 이행을 강제하기 위한 규제 또는 제도화 요구가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불만을 나타냈다. 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는 “권고적 성격의 ‘ISO 26000’은 논의 대상을 기업 뿐 아니라 모든 사회적 주체로 확대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만이 유독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며 “기업 활동의 핵심과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조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은 기업 뿐 아니라 노동조합과 시민사회 등에도 적용된다.
최갑홍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장은 “그동안 비정부기구(NGO)는 기업과 달리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활동 영역에 대한 제3자 검증이 없었지만,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이 제정되면 기업과 마찬가지로 책임 준수가 요구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발 나아가 김영호 회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적 책임투자를 이끌어내고 시민사회의 사회적 책임소비와 직결되고 있는 점을 들어 시민사회 중심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