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리경영.반부패등 망라
기준미달 땐 거래불익
국제사회가 2008년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기준을 시행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동안 자선 성격의 사회 공헌에 주력해온 국내 기업들에 비상이 걸렸다.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기준은 투명·윤리경영, 인권·노동·환경에 대한 책임, 반부패 등 포괄적 내용을 담고 있어, 기준에 못미치는 기업은 국제거래에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일본·독일·스웨덴·브라질 등 세계 43개국은 지난달 7~11일 브라질에서 국제표준화기구(ISO) 주도로 ‘사회적 책임’ 총회를 열고, 국제기준을 만들어 2008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총회는 이를 위해 기업, 노조, 소비자단체, 비정부기구, 정부, 표준기관별로 6개 모임을 구성해, 오는 9월 타이에서 열릴 다음 회의에서는 국제기준의 ‘밑그림’을 그릴 예정이다. 이동근 산자부 산업정책국장은 17일 “무역, 환경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라운드’가 현실화하면서, 국제기준에 미달하면 불이익을 받게 되는 시대가 왔음을 뜻한다”고 말했다. 총회에서는 그동안 기업에 국한됐던 사회적 책임의 적용 범위를 정부와 노조, 소비자단체, 비정부기구로 넓혔지만, 실제 영향은 주로 기업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총회는 또 국제기준 충족 여부에 대해 제3자한테 강제인증을 받도록 하자는 유럽 쪽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지만, 국제표준화기구가 논의를 주도하고 있어 사회적 책임도 결국 환경, 품질경영처럼 국제인증 체제가 정착될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정무성 숭실대 교수는 “국제기준을 충족한 기업들이 먼저 국제기구의 인증을 받으면 나머지 기업들 쪽에 큰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도 선진국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평가가 투자대상 선정의 한 기준으로 쓰이는데, 앞으로는 국제기준이 신용등급처럼 투자판단의 핵심지표로 활용될 전망이다. 삼성, 엘지 등 국내 대기업들은 그동안 자선과 자원봉사 중심의 사회 공헌에는 적극성을 보여 왔지만, 사회적 책임의 이행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정부는 5월 중에는 정부와 재계, 시민단체 대표 100여명으로 민관합동 표준화포럼을 구성키로 하는 등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이충호 기술표준원 국제협력과장은 “포럼 산하에 정부와 재계, 시민단체들로 3개 분과위원회를 구성해서 독자안을 만들어 국제회의에 반영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계도 최근 삼성, 케이티, 교보생명 등 대기업과 전경련, 교수들로 구성된 조사단이 일본의 경제산업성과 경제단체연합회를 직접 방문해 대응책을 알아보는 등 긴장하고 있으나, 대다수 기업들은 아직 ‘강건너 불구경’ 수준이다. 조사단장인 박태규 연세대 교수는 “일본은 국제논의 초기부터 민관 합동기구를 구성해 독자안을 만든 뒤 국제회의에 제출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한국에도 공동대응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조사단에 참가한 대기업 사회공헌 실무책임자는 “국내 기업들도 그동안 단편적으로 시행해온 투명·윤리경영, 고객만족 경영, 환경경영,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관련 활동을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jskwak@hani.co.kr
기준미달 땐 거래불익
국제사회가 2008년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기준을 시행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동안 자선 성격의 사회 공헌에 주력해온 국내 기업들에 비상이 걸렸다.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기준은 투명·윤리경영, 인권·노동·환경에 대한 책임, 반부패 등 포괄적 내용을 담고 있어, 기준에 못미치는 기업은 국제거래에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일본·독일·스웨덴·브라질 등 세계 43개국은 지난달 7~11일 브라질에서 국제표준화기구(ISO) 주도로 ‘사회적 책임’ 총회를 열고, 국제기준을 만들어 2008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총회는 이를 위해 기업, 노조, 소비자단체, 비정부기구, 정부, 표준기관별로 6개 모임을 구성해, 오는 9월 타이에서 열릴 다음 회의에서는 국제기준의 ‘밑그림’을 그릴 예정이다. 이동근 산자부 산업정책국장은 17일 “무역, 환경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라운드’가 현실화하면서, 국제기준에 미달하면 불이익을 받게 되는 시대가 왔음을 뜻한다”고 말했다. 총회에서는 그동안 기업에 국한됐던 사회적 책임의 적용 범위를 정부와 노조, 소비자단체, 비정부기구로 넓혔지만, 실제 영향은 주로 기업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총회는 또 국제기준 충족 여부에 대해 제3자한테 강제인증을 받도록 하자는 유럽 쪽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지만, 국제표준화기구가 논의를 주도하고 있어 사회적 책임도 결국 환경, 품질경영처럼 국제인증 체제가 정착될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정무성 숭실대 교수는 “국제기준을 충족한 기업들이 먼저 국제기구의 인증을 받으면 나머지 기업들 쪽에 큰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도 선진국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평가가 투자대상 선정의 한 기준으로 쓰이는데, 앞으로는 국제기준이 신용등급처럼 투자판단의 핵심지표로 활용될 전망이다. 삼성, 엘지 등 국내 대기업들은 그동안 자선과 자원봉사 중심의 사회 공헌에는 적극성을 보여 왔지만, 사회적 책임의 이행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정부는 5월 중에는 정부와 재계, 시민단체 대표 100여명으로 민관합동 표준화포럼을 구성키로 하는 등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이충호 기술표준원 국제협력과장은 “포럼 산하에 정부와 재계, 시민단체들로 3개 분과위원회를 구성해서 독자안을 만들어 국제회의에 반영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계도 최근 삼성, 케이티, 교보생명 등 대기업과 전경련, 교수들로 구성된 조사단이 일본의 경제산업성과 경제단체연합회를 직접 방문해 대응책을 알아보는 등 긴장하고 있으나, 대다수 기업들은 아직 ‘강건너 불구경’ 수준이다. 조사단장인 박태규 연세대 교수는 “일본은 국제논의 초기부터 민관 합동기구를 구성해 독자안을 만든 뒤 국제회의에 제출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한국에도 공동대응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조사단에 참가한 대기업 사회공헌 실무책임자는 “국내 기업들도 그동안 단편적으로 시행해온 투명·윤리경영, 고객만족 경영, 환경경영,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관련 활동을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