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대 대통령 이후 코스피와 경제성장률
미국 주택 값 등 외부요인 영향 더 클 것
“무리한 부양책 쓰면 되레 악영향” 지적
건설·금융·의료·교육 등 ‘수혜업종’ 부각
“무리한 부양책 쓰면 되레 악영향” 지적
건설·금융·의료·교육 등 ‘수혜업종’ 부각
25일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다. 주식시장에서도 새 정부 출범이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새 정부가 ‘친기업 친시장’ 정부를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 우호적일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실제로 과거 1988년부터 2003년까지 역대 정부 출범 뒤 첫 해 주가 상승률이 28~73%를 기록해 일말의 기대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새 정부 출범이 주가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는 견해에 더 비중을 두고 있어 주목된다. ‘긍정적 전망’보다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의견’이 더 많은 셈이다.
■ 올해는 대외 변수가 더 중요=김영익 하나대투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우리 경제는 단기적으로 수축 국면에 접어들어 하반기 이후에나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며 “미국 주택가격 등 대외변수가 더 중요한 변수”라고 지적했다. 새 정부 출범 뒤 10개월~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정책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섣부른 기대는 금물이라는 것이다.
김학주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지금 주식시장을 좌지우지하는 것은 세계적인 경기침체 위험”이라며 “이런 리스크 때문에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에 힘을 크게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의 정책 방향이 증시에 부정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종우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번 정부는 경기 활성화를 내걸고 출범하는 만큼 경기둔화 때 무리하게 경기부양책을 펼 개연성이 높다”며 “이렇게 될 경우 오히려 후유증만 길게 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강성모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상무도 “새 정부가 외형적 성장에만 치중할 경우 물가는 올라가고 기업 비용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면서 “기업 이익에 악영향을 줄 경우 주식시장에도 안좋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수혜 예상 업종은? =새 정부 출범이 증시에 당장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각 증권사는 각종 정책 변화에 따른 수혜주 찾기에 분주하다. 여러 증권사 분석을 종합해 보면, 수혜 예상 업종은 △내수 관련 (건설·문화콘텐츠·금융업) △에너지 △교육 △인수·합병 관련주로 집약된다.
수혜 예상 업종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역시 건설업이다. 새 정부는 300만개 일자리 창출(연간 60만개)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대외 여건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새 정부가 목표로 하는 연 7% 성장을 위해서는 내수 경기 활성화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
홍순표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건설 관련 규제를 풀고 대운하 건설 공약 등으로 건설업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여기에다 성장 가능성이 높고 양질의 고용 창출이 기대되는 금융과 문화콘텐츠, 의료보건 서비스업종 등도 수혜 예상 업종”이라고 말했다.
교육 관련주도 자주 언급된다. 영어교육 강화와 대학 입시 자율화 등을 추구하는 새 정부에서 사교육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손예희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모든 교육업체가 수혜를 입기보다는 시장 점유율이 높고 브랜드 힘을 가진 업체 위주로 수혜가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선아 윤은숙 기자 anmadang@hani.co.kr
새 정부 수혜 예상 업종
양선아 윤은숙 기자 anmad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