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총소득(GNI)
작년 환율하락 탓…실질소득 증가는 3.9% 그쳐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처음으로 2만달러를 넘어섰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5%로, 2006년 5.1%에 이어 연속 5%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07년 국민계정(잠정)’ 자료를 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2만45달러(연평균 환율 적용 1862만6천원)로, 전년의 1만8401달러(1758만2천원)보다 8.9% 증가했다. 1995년 1만달러를 넘어선 뒤 12년 만이다.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돌파는 수출 호조 등에 힘입은 국내총생산(GDP)이 증가하고,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연평균 환율은 929.2원으로, 전년도보다 2.8% 떨어졌다.
1인당 국민소득은 95년 1만1432달러를 기록해 1만달러를 처음 넘어섰으나 외환위기로 98년 7355달러로 떨어진 뒤 다시 2000년 1만841달러로 1만달러 선을 회복하고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환율이 최근처럼 상승세를 이어가면 달러로 표시되는 1인당 국민소득은 낮아져, 올해도 2만달러 선을 유지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최춘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인당 국민소득에는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환율 등이 주로 영향을 끼치는데, 이 요인들이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며 “환율이 상승하면 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그 영향도 함께 봐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은 수출이 높은 신장세를 이어가고 설비투자와 민간소비도 견조한 증가세를 지속함에 따라 전년에 비해 5% 성장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하지만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3.9%에 그쳐, 5년 연속 경제성장률보다 낮았다. 국제 유가 상승 등으로 교역 조건이 나빠지는 바람에 국내 경제 주체들한테 돌아가야 할 몫의 상당 부분이 국외로 빠져나갔다는 뜻이다. 지난해 교역 조건 악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실은 78조3944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교역 조건이 크게 악화돼,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이 3분기 1.5%에서 4분기에는 0.2%에 그쳤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국내총생산 국민 총소득 성장률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