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석래 전경련 회장
조석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효성그룹 회장·[사진])이 국내의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책임 소재를 놓고 이명박 정부의 정책실패는 부인하면서 대외 환경 악화와 사회 혼란, 노무현 정부의 분배정책 강화 탓으로만 돌려 빈축을 사고 있다.
조 회장은 31일 제주도 서귀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전경련 주최 하계포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한국경제가 어려운 것은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 요인과 사회 혼란에 발목이 잡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조 회장은 정부의 고환율 정책이 물가불안을 가중시켰다는 지적에 대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부정했다. 조 회장은 “지금 한국 경제의 문제는 오히려 노무현 정부의 책임”이라며 “참여정부가 분배 위주 대신 성장 정책을 썼더라면 훨씬 일이 쉬웠을 것”이라고 책임을 둘렸다. 이명박 대통령과 사돈 관계인 조 회장은 지난해 대선 기간에도 ‘경제 대통령론’을 강조해 이 후보 지지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조 회장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현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이 아직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은 국회 공전으로 관련법 개정안이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경제 규모가 커졌기 때문에 정책효과가 제대로 나려면 1년 정도는 기다려 줘야 한다”고 정부를 옹호했다.
이에 대해 임원혁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참여정부 역시 겉으로는 복지정책을 강조했지만 정작 별로 실행에 옮긴 것은 많지 않은데도, 참여정부의 분배정책 탓에 지금 경제가 어렵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특히 정말로 대외 환경이 악화돼 기업이 투자를 늘리지 않는다면 기업인 처지에서는 오히려 합리적 선택인데도, 기업인 스스로가 과거 정부 탓 운운하는 것은 난센스”라고 꼬집었다.
한편, 전경련은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이 전날 하계포럼에서 “촛불집회를 보며 우리 사회에 좌파가 얼마나 많은지를 새삼 깨닫게 됐다”며 촛불 시위자를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발언을 한 것과 관련해, 시위자 전체를 좌파로 지칭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