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연대, 가처분신청 방침
“회장선임 외압설 규명 필요”
“회장선임 외압설 규명 필요”
회장 선임 과정에서 정권 외압설에 시달려온 포스코가, 경제개혁연대에서 요청한 최고경영자 후보추천위원회와 이사회 의사록 공개를 끝내 거부했다.
경제개혁연대는 2일 “지난 2월 이구택 회장의 중도 사퇴와 정준양 회장 선임 과정에서 정권 실세의 개입이 있었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의사록 열람·등사를 요청했으나, 포스코가 납득할 만한 이유 없이 거부했다”고 밝혔다. 경제개혁연대는 곧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낼 방침이다.
이에 앞서 민주당 우제창 의원은 지난 4월 국회에서 포스코 회장 인선 과정에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과 천신일 세중나모여행 회장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정권 실세 외압설이 계속 제기되고 증폭되는데도 회사 쪽은 주주들에게 납득할 만한 어떠한 해명도 하지 않았다”면서 “지배구조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기업가치가 훼손됐기 때문에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후보추천위가 비공개·비상설 자문기구에 불과해 상법상 주주의 공개 요구 대상이 아니라고 거부 이유를 밝혔다. 또 이사회 의사록도 다른 목적에 악용될 수 있고, 회장 선임 과정에서 이사의 부정행위도 발견되지 않았다며 공개를 거부했다. 홍보실 관계자는 “경영 환경도 안 좋은 상황에서 경영진 선임을 자꾸 문제 삼으면 경영은 물론 주주가치 제고에도 도움이 안 될 것”이라며 “위기 극복을 할 수 있도록 포스코를 도와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포스코 안에서도, 외국인 지분이 50%나 되고 소유 분산이 잘된 민영화기업의 회장 선임에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포스코는 또 이번 거부가 그동안 쌓아온 지배구조 모범기업으로서의 회사 이미지에도 상처를 줄까 걱정한다.
가처분신청에 대해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도 관심사다. 경제개혁연대가 소액주주운동 차원에서 제기한 이사회 의사록이나 주주명부 공개 요청에 대해 그동안 대다수 기업들은 응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들어 분위기가 돌변했고, 법원도 지난해 제기된 3건의 주주명부열람 가처분신청을 모두 기각했다. 이에 따라 법원이 외환위기 이후 기업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온 소액주주운동을 고사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