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경제위기 속에서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을 발전시키는 것이 오히려 기업과 사회의 생존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주는 ‘필수요소’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사회적책임투자포럼과 독일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한국사무소는 18일 유럽·일본·한국의 정부 및 민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경제위기와 기업의 사회적책임’이라는 주제로 이틀 일정의 국제워크숍을 열었다.
대부분의 참석자들은 이번 경제위기가 각 경제주체들이 과도하게 자기 이익만을 추구한 결과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책임 활동을 키우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또 사회적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안인 ISO26000 도입이 추진되고 있지만, 경제위기를 빌미로 사회적책임 확대 논의가 지지부진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참석자들 중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사회적책임 경영이 발전해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았다. 콜린 플레처 시에스아르(CSR)유럽 매니저는 “경제위기 뒤 정부·기업을 신뢰하는 사람이 50%도 안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며 “신뢰를 얻으려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배려하는 사회적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연합은 경영자, 노동자·노동조합,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포럼을 구성해 경영투명성과 인권·환경, 거래관계 등을 살피고 있다. 유럽연합 사무국의 토르스텐 그리스텐 박사는 “정부 조달시장이 전체 유럽경제의 16%를 차지한다”며 “각 정부들이 이 포럼에서 논의되는 사회적책임 기준을 조달시장에 적용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역시 지난 3월 정부와 경영계, 노동계,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망라하는 라운드 테이블을 꾸린 상태다. 김종열 유한킴벌리 이사는 “ISO26000의 중심 내용도 바로 ‘이해관계자 이익 존중’”이라고 말했다.
김호균 명지대 교수는 “경제위기 뒤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강조하는 전 세계적 흐름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규제완화 등 오히려 ‘주주 자본주의’를 고집하는 경향이 짙어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윤직상 지식경제부 산업경제정책 국장은 “기업의 이윤 창출 책임을 무시하고 사회적책임만 강조하는 것이 걱정된다”며 다른 참석자들과는 다른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