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계기로 오히려 특수
세계 금융위기를 계기로 오히려 ‘특수’를 맞은 곳이 있다. 바로 각국의 정부 조달시장이다. 세계 각국이 사회인프라 확충 등 경기부양책으로 쏟아붓기로 한 자금 규모가 2조달러를 훌쩍 넘는다.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4%에 가까운 수준이다.
25일 지식경제부와 코트라는 서울 서초구 염곡동 코트라 본사에 미국·중국·일본 등 각국 전문가들을 초청해 나라별 경기부양책과 유망 프로젝트를 국내 기업에 소개했다. 미국 컨설팅사인 캐시디 앤드 어소시에이츠의 그레그 하틀리 부사장은 “2010년 미국 정부의 조달시장 규모가 환경, 에너지, 사회간접자본 등에서 활발해져 모두 1조2천억달러(약 154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가격·품질 외에 친환경성이 중요한 구매 결정요인”이라고 조언했다.
지난 4월 15조엔 규모의 경제위기 대책을 발표한 일본 정부는 친환경자동차 구입과 공공건물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등에 2조9천억엔(약 39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일본경제연구센터의 다케우치 준이치로 주임연구원은 “그린 뉴딜정책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하이브리드카 개발·출시 등 변화된 환경에 한국 기업들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2010년 말까지 4조위안(약 755조원)을 사회기반시설 확충 등에 쏟아붓는다. 중국 허베이성 입찰국 허루화 처장은 “중국 정부와 소통을 많이 해서 중점 프로젝트 발주정보와 구매정책 방향을 신속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충고했다. 중국 정부가 자국산을 우선구매하도록 한 ‘바이 차이나’ 지침으로 한국 기업이 직접 받는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코트라는 “기존의 자국산 우선구매 정책을 재확인한 것에 불과하다”며 “다만 외국제품·서비스 수입허가과정이 ‘불투명’하게 운영되면, 외국기업에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26일엔 미국, 중국, 일본 등 8개 정부부처·정부 조달업체들이 입찰을 희망하는 50여 국내 기업들과 일대일 상담을 한다. 조환익 코트라 사장은 “각국 정부를 대상으로 직접 마케팅을 강화해 현지 유력 납품업체와 한국 기업간 파트너십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