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주요국 동향 소개
네덜란드엔 인구(1640만명)보다 자전거(1800만대)가 더 많다. 매일 300만명이 자전거로 출퇴근하고, 1~2.5㎞의 거리에선 자전거가 단연 1위의 운송수단이다. 전국엔 약 1만7000㎞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다. 이렇게 ‘자전거 천국’이 되는 데에는 자치단체의 역할이 컸다.
암스테르담 시에는 자전거정책팀 직원이 60명이나 된다. 내년까지 거주자의 37%가 자전거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자전거 이용률이 가장 높은 흐로닝헨시에서는 아예 자동차가 도심에 들어올 수 없다. 자전거를 탈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
코트라(KOTRA)는 13일 ‘해외주요국 자전거 산업정책 및 시장동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어, 네덜란드처럼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가 어떻게 앞장섰는지를 보여주는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했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연간 2700만명의 관광객 가운데 3%가 ‘밸리브’(Velib)라고 불리는 공공 자전거 대여시스템을 이용해 자전거를 타고 파리를 관광한다. 이 시스템이 도입된 지난 2007년 이후 파리 시내 자전거 이용률은 45% 늘었고, 이산화탄소 배출이 연간 2400t 감소했다.
독일은 기차에 자전거 탑승칸을 마련하고, 베를린 등 주요 도시의 열차역 주변에 자전거 대여소 250여곳을 설치하는 등 자전거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자동차 왕국’인 미국에서도 샌프란시스코가 자전거용 신호등을 설치하고, 워싱턴디시(DC)는 공공 자전거 대여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들 나라에서는 전기모터를 이용한 전기자전거의 인기가 높다. 지난해 독일과 미국에서 팔린 전기자전거가 각각 10만대와 17만대에 이르며, 네덜란드에서 팔린 자전거의 10%가 전기자전거였다. 프랑스에서만 유럽 10여개 기업이 전기자전거 모델 30종을 내놨고, 체인 없는 전기자전거도 개발됐다.
권오석 코트라 구미팀장은 “우리나라도 이런 자전거 선진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