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대 기업이 바라본 사회갈등 주요 원인
“내년 사회갈등 악화·여전” 85.4%
“정부가 소통 노력해야” 27.8%
“정부가 소통 노력해야” 27.8%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이명박 정부에서 사회갈등이 심각한 수준이고, 그 주된 책임은 정부와 정치권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갈등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지난달에 조사한 결과, 사회갈등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다소 심각’(72.3%), ‘매우 심각’(15%)을 포함해 8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반면 사회갈등이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12.7%에 그쳤다.
내년도 사회갈등 전망과 관련해서도 ‘올해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4.6% 불과했고, 나머지 85.4%는 올해보다 더 나빠지거나(25.7%), 비슷할 것(59.7%)으로 응답했다.
전경련의 기업 대상 사회갈등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지만, 사회갈등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매우 높고, 내년에도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낮다는 점에서 이명박 정부의 사회갈등 관리에 문제점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사회갈등을 일으키는 최대요인으로 ‘정치·이념 대립 고조’가 63.7%로 가장 많이 꼽혔고, 빈부격차 심화(24.9%)가 그 다음이었다. 또 사회통합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할 일을 묻는 질문에도 ‘소모적 정치·이념갈등 해소’가 32.2%, ‘정부 소통 노력’이 27.8%로 정치권이나 정부의 갈등해소 노력을 꼽은 응답이 60.1%에 달했다.
반면 흔히 재계가 주요하게 내세워온 노사문제를 사회갈등 유발 요인이나 사회통합 우선과제로 꼽은 응답은 각각 10~11%에 그쳤다. 이명박 정부가 강조하는 엄격한 법적용 및 공권력 강화를 우선과제로 꼽은 응답도 4.2% 에 불과했다.
이태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엠비(MB)정부가 실용에 이어 서민중도를 내세우고 사회통합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세종시 수정, 4대강사업 강행에서 잘 드러나듯이 일방통행과 소통부재식 국정운영이 사회갈등을 더욱 조장, 확대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대기업들조차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게 이번 조사의 큰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사회갈등으로 인한 기업 피해로는 매출 감소(21.3%), 대외 신인도 및 이미지 추락(19.7%), 설비투자 및 신규사업 포기(12.3%)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전경련은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규제완화 등에 힘쓰고 있지만, 사회갈등 해소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jskwak@hani.co.kr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