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중장기 외화유동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현재 국내은행 15곳의 중장기 재원조달 비율은 139.6%로 전년(105.6%)보다 34.0%포인트 높아졌다고 2일 밝혔다. 중장기 재원조달 비율은 1년 이상 외화조달 잔액을 1년 이상 외화대출 잔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금감원은 지난해의 경우 중장기 외화대출이 132억4000만달러 줄어든 반면, 차입은 91억7000만달러 늘어 유동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국내은행의 중장기 재원조달 비율은 리먼브러더스 사태 직후인 지난 2008년 말 105.6%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외화차입 여건이 좋아지면서 오름세로 반전했다. 국내은행이 외화를 빌릴 때 지불하는 가산금리(1년물)는 지난해 1분기 4.08%포인트까지 치솟았다가 지난해 4분기 1.17%포인트, 올해 1월 0.67%포인트 등으로 점차 하락하면서 정상을 되찾았다. 금감원 쪽은 “주요국이 저금리 기조를 이어가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 중장기 차입 여건은 좋은 편”이라며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중장기 차입은 늘리도록 유도하는 한편, 불필요한 외화대출을 자제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